'이루다' 개인정보 수집 후폭풍…개발사 "DB 폐기까지 고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혐오 발언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논란에 휩싸인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 연합뉴스

혐오 발언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논란에 휩싸인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 연합뉴스

혐오발언과 개인정보 보호 논란을 불러일으킨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와 관련, 개발사가 이루다 데이터베이스(DB)와 딥러닝 모델 폐기를 고려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이루다의 개발사인 스캐터랩 관계자는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종'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루다 서비스는 일단 중단한 상태로 이루다 DB 페기까지도 고려는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데이터 폐기도 고려하고 있고 딥러닝 모델도 폐기해야 하는지 얘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캐터랩은 이루다를 만드는 데에 연애 분석 앱인 '연애의 과학' 이용자들의 카카오톡 데이터를 가져다 쓰면서 동의를 제대로 받지 않고 익명화를 제대로 하지 않았으며 직원끼리 사내 메신저에 이를 공유했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현장에서 자료를 확보해 현재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스캐터랩에 따르면 연애의 과학으로 수집한 카카오톡 데이터는 100억이며 이중 1억건이 이루다 DB에 들어갔다. 이날 스캐터랩 관계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 과정의 경우 법률적 검토를 받았는데 법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고 들었다"며 "미흡했던 부분은 서비스 개선에 반영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루다 DB가 폐기된다 해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애의 과학 이용자들은 "이루다 DB가 아니라 카톡 데이터 전량을 파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스캐터랩이 이루다DB를 폐기한다 해도 수집한 카카오톡 데이터를 이용해 언제든 비슷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장주영 기자 jang.joo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