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이 멍이 몽고반점인줄...경찰청장 "보호자 말 너무 믿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창룡 경찰청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정인이 사건'과 관련해 열린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2021.1.7 오종택 기자

김창룡 경찰청장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정인이 사건'과 관련해 열린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2021.1.7 오종택 기자

김창룡 경찰청장이 양부모의 학대로 숨진 ‘정인이 사건’과 관련 경찰의 책임론을 인정하고 전날 대국민사과에 이어 7일에도 다시 한번 고개를 숙였다.

김 청장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출석해 “경찰의 최고 책임자로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고 다시 한번 사과했다. 그는 “1차로 현장 출동하는 경찰과 공무원 등이 전문성과 책임성을 가지고 사전 징후라도 파악해야 하는데, 아직 미흡한 면이 있다”며 “이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여야 의원들은 아동학대에 대한 경찰관들의 미흡한 초동 대응과 수사를 한 목소리로 질타했다. 김민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찰이 정인 양의 몸에 있던 양부모의 학대로 생긴 멍과 몽고반점을 구분하지 못해 내사를 종결한 점을 언급하며 “몽고반점과 멍을 구분 못한다는 것이 말이 되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청장은 “보호자의 주장을 너무 쉽게 믿은 게 아쉬운 부분”이라고 답했다.

김 청장은 김동현 국민의힘 의원이 ‘경찰이 사건을 재수사할 의지가 있느냐’는 질의한 데 대해서는 “현행법 체계에서 경찰이 검찰에 송치한 사건에 대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재수사는 어려운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은 검찰이 기소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며 새로운 증거나 사실이 발견되지 않으면 재수사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김 청장은 또 “현장에서 겉으로 드러난 정황만으로 판단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측면이 있고, 또 학대가 발생한 지 한참 지난 후 신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난 치료기록을 볼 수 있는 권한도 (경찰이) 가질 수 있도록 세밀하게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jang.joo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