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 중단' 바이든 보란듯···트럼프, 사형수 25% 처형 준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인디애나주 테러호트에 있는 연방 교도소 앞에 세워진 무단침입 금지 표지. AP=연합뉴스

미국 인디애나주 테러호트에 있는 연방 교도소 앞에 세워진 무단침입 금지 표지. AP=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임기 막판에 사형 집행을 서두르고 있다. 미 정부는 내년 새 대통령 취임식 전까지 사형수 5명의 형을 집행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후임자의 정책 방향과 상반되는 이번 계획을 두고 일각에선 부적절하다는 목소리를 낸다.

AP통신은 7일(현지시간) 민주당과 공화당 사이에서 사형에 대한 지지가 약해지고 있지만 트럼프 정부는 전체 연방 사형수의 약 4분의 1을 처형한 후 물러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AP통신은 "실제 사형이 집행된다면 지난 7월 연방정부 차원의 사형 집행을 17년 만에 재개한 후 총 13명을 형장에 세우게 된다"며 "지난 130여년간 사형을 가장 많이 집행한 대통령이라는 트럼프의 유산이 확고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윌리엄 바 법무부장관도 최근 AP통신과 인터뷰에서 자신이 퇴임하기 전 사형 집행 일정을 추가로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연방 정부의 사형 중단을 공약으로 내세운 조 바이든이 당선된 상황에서 집행을 강행하는 건 유권자 의사를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판도 나온다. 미국 정부가 정권 교체기에 연방 사형을 집행하는 건 1800년대 후반 그로버 클리블랜드 정부 이후 처음이다.

민간 연구단체 사형정보센터의 로버트 더럼 회장은 "그동안 퇴임을 앞둔 대통령들은 후임자와 시각차가 큰 정책에 대해선 후임자의 의견을 따랐다"면서 "트럼프 정부의 이번 계획은 완전한 역사적 일탈"이라고 꼬집었다.

더럼 회장은 "정권 교체를 앞둔 현 단계에서 대통령이 왜 많은 사람들을 죽여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특히 미국인들이 뽑은 차기 대통령은 사형 제도를 반대한다고 했는데 말이다"라고 지적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