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공황장애 앓는 노인들 10년 새 5배 많아졌다

중앙일보

입력

공황장애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는 노인들이 10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pixabay

공황장애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는 노인들이 10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pixabay

공황장애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는 노인들이 10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노인 우울증 등 정신질화 관련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공황장애를 앓는 60세 이상 노인은 2010년 7495명에서 2019년 3만9284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기질성 수면장애 환자도 9만563명에서 17만9891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식사장애 환자는 1115명에서 3714명으로 3배 늘었고, 우울 관련 질환을 겪는 노인도 19만5648명에서 30만9749명으로 2배 많아졌다.

특히 90세 이상 초고령층에서 정신질환자 수가 폭증했다. 지난 10년간 90세 이상 초고령 정신질환 환자는 총 2540명에서 8860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이중 공황장애 환자는 2010년 22명에서 2019년 319명으로 무려 14배나 격증했고, 식사장애 환자 역시 29명에서 388명으로 13배나 뛰었다. 우울증은 1188명에서 4657명으로 4배, 수면장애는 1301명에서 3496명으로 2배 이상 올랐다.

요양급여비용도 따라 오름새다. 지난 10년간 60세 이상의 공황장애·수면장애·식사장애·우울증 환자로 인해 발생한 요양급여비용은 총 858억7800만원에서 1648억5600만원으로 평균 2배 이상 증가했다. 식사장애는 7배, 공황장는 5배, 수면장애는 3배, 우울증은 1.7배가 올랐다.

강 의원은 “노인을 65세 이상의 동질성을 지닌 집단으로만 전제하는 정부의 기존 인식부터 바꿔야 할 것”이라며 “생애주기별 관점에서 노인 세대 내의 특성을 세분화한 섬세한 복지정책으로 이들에게 ‘더 나은 노년’을 보장해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