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계속? 복귀? 전공의들, 오늘밤 '막판논의'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방침 등에 반발해 지난 21일부터 집단 휴진에 돌입한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이 2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와의 긴급 면담을 하기 앞서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방침 등에 반발해 지난 21일부터 집단 휴진에 돌입한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이 2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와의 긴급 면담을 하기 앞서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

무기한 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전공의들이 단체행동 중단 여부를 두고 29일 오후 10시 막판 논의에 나선다.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 긴급 전공의 대표자 비상대책회의에서는 지난 회의 이후에 있었던 논의 결과들에 대한 공유가 있을 예정"이라며 "10시에 뵙겠다"고 밝혔다. 전공의들은 지난 21일부터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추진 등에 반발해 단체행동에 돌입했다.

정부가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간 전공의·전임의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28일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에 대한전공의협의회 대국민 담화문이 붙어있다. 2020.8.28/뉴스1

정부가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간 전공의·전임의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28일 서울 서초구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에 대한전공의협의회 대국민 담화문이 붙어있다. 2020.8.28/뉴스1

의료계에 따르면 대전협, 의학교육 및 수련병원 협의체 등은 의료계·보건복지부가 구성한 '의·정 협의체'에서 원점부터 정책을 논의하는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잠정 합의안'엔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복지부로 구성된 협의체에서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을 원점에서 적극적으로 논의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나 정부가 관련 정책을 일방적으로 추진할 경우 전공의는 모든 업무를 중단하고, 의과대학 학생을 포함한 의료계가 공동으로 대응하겠다는 선언도 담겼다.

이와함께 대전협은 국회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안정화하기까지 관련 법안 추진을 중단하고, 향후 의협과 대전협 등이 포함된 국회 내 협의기구를 설치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논의한다는 약속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26일 오전 8시 수도권 수련병원들을 대상으로 업무개시 명령을 발령하고 바로 해당 병원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27일 전공의 중 휴진자 358명에게 업무개시 명령서를 발부했고, 하루 뒤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 10명을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코로나19로 자가격리 중이던 전공의가 고발 대상에 포함 된 것으로 알려져 반발이 일었다. 정부는 29일 "자가격리 중이었음에도 병원 수련부에서 무단결근으로 잘못 확인한 경우라면 고발을 취하할 예정"이라며 "(해당 전공의가) 자가격리를 마치고 무단결근한 경우라면 향후 경찰 수사 과정에서 정상참작 여부를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