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자동차산업 노동생산성, 독일의 절반 수준”

중앙일보

입력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연합뉴스

한국 자동차 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세계 10위로 독일의 절반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평호 한국생산성본부 부소장은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4회 산업 발전포럼∙제9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 부소장은 “국내 제조업의 2019년 노동생산성 지수는 2015년 대비 약 16% 상승했지만 여전히 노동투입형 특성을 보이고 있다”며 “제조업 중에서도 자동차산업의 경우 최근 3년 간 노동투입과 함께 단위 노동비용이 증가해 노동생산성이 지속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자동차산업의 노동생산성은 2011~2018년 평균 독일의 52%에 그쳤다”며 “자동차부품업은 자동차제조업 대비 45% 수준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한 부소장은 “기술혁신에 따른 총요소생산성(TFP: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자본증가에 따른 증가분을 뺀 것) 향상에 초점을 두고 제조업 가치사슬 전반을 디지털로 전환하며, 디지털 생태계 조성과 연계된 리쇼어링 등에 정책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 울산1공장 코나 생산라인. 사진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울산1공장 코나 생산라인. 사진 현대자동차

“노동자가 오히려 노동유연성·차등 보상 희망”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코로나19 대응 산업생산성 제고방안’ 발표에서 “자동차업계 생산∙기술직 직원들이 오히려 노동유연성과 개인별 차별 보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념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중견기업연구원이 주관해 완성차 업체와 자동차부품업체 130곳, 637명을 대상으로 6월 25일~7월 17일에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같이 주장했다.

이 조사에서 생산·기술직은 시장수요 변화에 따른 노동력 활용 어려움에 대해 ‘노조와의 협의(36.0%)’가 가장 큰 애로 요인이라고 답했다. 반면 경영진은 비용상승(38.1%), 경직적 노동시간(28.6%), 노조와의 협의(14.3%) 등을 들어 근로자들이 오히려 노조와의 협의를 장애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회장은 “생산·기술직이 노조와의 협의 어려움 때문에 수요변화에 따른 생산물량 조정이 안 되고 있다고 인식한 점, 임금협상 주기는 2년 이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점, 동기부여를 위해 복리후생보다 차별적 성과급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점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정부나 노조의 정책·의사 결정 시 일반 근로자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주문 후 상품 인도까지 1주일에서 6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현 부품 생산체제는 문제가 있다”며 “부품업체도 디지털 전환을 확대해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수요절벽 상황이 미국·유럽 등의 경제 재개 조치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고, GM·포드 등이 그동안의 생산차질 만회를 위해 생산 증대에 나서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의 생산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자동차산업연합회를 비롯해 석유화학협회·철강협회·기계산업진흥회·반도체산업협회 등 26개 단체가 참여했다.

박성우 기자 bla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