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한·미 국방장관 전화회담···"흔들림없이 전작권 전환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보고]전작권, 방위비 분담금 등 산적한 현안 앞 한·미 국방장관 전화회담 관련 보고
※정경두 국방부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이 21일 전화로 회담을 가졌습니다. 해당 내용 관련 국방부의 공동언론보도문을 보고합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 2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국방장관회담에 앞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국방부]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 2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국방장관회담에 앞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국방부]

-국방부, “정 장관이 이날 오전 에스퍼 장관과 전화회담 갖고 한미동맹의 굳건함과 양국 국방당국의 긴밀한 공조체제를 재확인했다”고 밝혀. 국방부는 이날 언론보도문에서 “양 장관이 한반도 안보정세를 공유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지속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 또 “양측은 유동적인 한반도 안보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동맹의 대비태세와 연합방위태세를 지속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여.
-양국 장관은 이날 조건에 기초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연합지휘소훈련, 방위비분담금 협상 등 다양한 국방현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져. 전작권 전환의 경우 상호 합의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전작권 전환을 흔들림 없이 지원해 나갈 것임을 양국 장관이 강조했다고 국방부는 설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같은 공동 위협 대응과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의 중요성도 이 자리에서 강조됨.
-양국 장관은 오는 가을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다양한 양국 국방 현안에 대해 논의를 이어나갈 계획.
-이날 양국 국방 수장간 회담은 지난 4월 6일 전화회담 이후 처음 열리는 것. 매년 5~6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지역 안보협의체 샹그릴라 대화가 취소됨에 따라 전화회담이 추진됨.
-이날 전화통화에서 최대 현안인 하반기 한미연합연습 진행 방향이 주로 논의됐던 것으로 분석. 전작권 전환 검증과 연계돼 미루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코로나19, 북한 반발 등 외부 고려 요소가 있어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 에스퍼 장관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논리에 정 장관이 어떤 식으로 대응했을지도 관심이 쏠리는 대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