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정치 탓에 냉·온탕을 오가는 두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최선욱 기자 중앙일보 기자
최선욱 산업1팀 기자

최선욱 산업1팀 기자

17일 문재인 대통령의 예상치 못한 칭찬을 들은 두산 내부 반응을 종합하면 “그래도 싫은 소리 들은 것보단 낫다”로 정리된다. 문 대통령이 이날 전북 부안군의 풍력핵심기술연구센터를 찾아 두산중공업의 해상 풍력발전 성과를 보고받은 뒤 “포기하지 않고 오늘의 수준에 이르렀다. 특별히 감사드리고 싶다”고 말한 것을 두고서다. 문 대통령은 두산중공업의 65.5m짜리 풍력발전기 블레이드(날개)를 보고선 “굉장히 칭찬받을 만한 개발 사례”라는 말도 했다.

두산 안팎과 에너지 업계에선 대통령의 이 발언에 대해 ‘두산 달래기’였다는 해석이 나온다. 두산이 겪고 있는 경영 위기 원인 중 하나로 정부의 탈원전 기조가 지목되고 있어서다. 두산중공업은 회사 전체 매출의 13~15%가 원전 설비 제작·유지·보수 영역에서 나오는데,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이 막혀 그만큼 돈을 못 벌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위기가 가중됐고, 결국 5월 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으로부터 3조6000억원을 빌렸다. 두산은 두산솔루스·두산건설 등 일부 계열사와 두산타워·클럽모우CC 등 자산을 팔아 일부 빚을 갚을 예정이다. 또 궁극적으로 돈 버는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2025년까지 해상풍력을 연 매출 1조원 사업으로 키우기로 했다. 태양광 등을 더해 신재생에너지 사업 매출 비율을 30%까지 늘린다는 게 목표다.

노트북을 열며 7/20

노트북을 열며 7/20

쉽게 말해 두산 입장에선 ①정부가 돈을 못 벌게 하고→②회사가 어려워지자→③돈을 빌려주면서→④그 조건으로 정부가 원하는 사업을 키워 돈을 벌어야 하는 상황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사에선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원전 지어서 돈 벌려는 악당 취급할 땐 언제고, 다 망할 것 같으니 다독이냐”는 푸념도 새 나오는 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두산에게 풍력 에너지 사업 성공은 포기할 수 없는 과제다. 2005년부터 이 사업에 도전해온 두산은 개발·설계·준공·운영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국내 회사라는 점도 내세우고 있다. 이 때문에 탈원전에 대한 아쉬움 속에서도 대통령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14일)을 발표한 뒤 첫 현장 방문으로 풍력단지를 찾았다는 건 두산으로선 또 다른 기대다.

남은 불안은 정책의 일관성이다. 부안 현장에서 대통령이 ‘2030년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 의지를 밝혔지만, 임기는 2년이 채 남지 않았다. 소음·진동·자기장에 따른 어업 방해 논란 등이 훗날 정치적으로 왜곡될 소지가 남아 있다. 정치가 키우고 정치 때문에 실패하는 또 다른 산업이 생겨선 곤란하다.

최선욱 산업1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