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은 늦겨울 보양(補養)을 어떻게 하나?

중앙일보

입력

겨울은 한냉한 계절이기 때문에 노년의 경우 생리적으로 인체의 모든 기능과 저항력이 감퇴한다.

그래서 이 때 노년들은 특히 보양(補養)을 많이 해주어야 하는 시기이다.

연로한 부모님을 둔 가족들은 당신들의 건강을 위해, 그리고 노년에 접어든 이들은 자신의 건강을 더 다독이기 위해, 겨울철 특히 신춘(新春)을 앞둔 이즈음에 유용한 겨울철 보양법에 대해 알아두는 것도 무익하지 않을 것이다.

현대의학적인 각도에서 볼 때 노년이 겨울철에 몸을 보양해야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나이가 든 경우 대부분 식욕이 감퇴하는 경향이 있지만 대다수의 경우 입동(入冬)이 지나면 식욕이 증가한다.

그리고 인체의 영양물질에 대한 흡수기능은 겨울철에 더욱 강렬해지는데, 이 때 노년층이 섭취하는 영양물질은 용이하게 소화흡수가 될 뿐 아니라 소변이나 땀으로 손실되는 양도 적다.

그래서 보양(補養)한 후에는 그 영양성분이 용이하게 몸 속에 잘 저장되어 그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래서 겨울의 보양은 인체의 영양상태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환자의 경우는 건강회복을 촉진시킨다. 이는 약물이 대신할 수 없는 효과를 보여준다.

그리고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추위를 타는 현상을 개선시키고, 영양물질이 최대한도의 에너지로 전환되어 다가올 한해의 신체건강에 아주 좋은 기초를 다지게 한다.

앞서 이야기 한 바 있지만 한방에서는 겨울을 만물이 온장(蘊藏)하는 계절로 보기 때문에 이 시기가 바로 인체의 음정(陰精)을 기르고, 신체를 조양(調養)하며, 음양(陰陽)을 조화롭게 유지시키며, 경락(經絡)을 잘 흐르게 하면서 기혈(氣血)을 조화롭게 하는 아주 좋은 시기가 되는 것이다.

노년의 겨울철 보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것에 기초하여 양기(陽氣)를 길러주면서 자보(滋補)해야 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 이야기 하는 '허하면 보해주고 차가우면 따스하게 해준다(虛則補之, 寒則溫之)'는 이론에 근거해 음식으로 약을 삼으려면 온성(溫性), 열성(熱性), 특히 신(腎)의 양기(陽氣)를 보(補)해주는 음식이 위주가 되어야 신체의 내한력(耐寒力)을 높이게 된다.

지난 회에서 이야기한 개고기와 양고기는 신(腎)의 양기(陽氣)를 보하는 효능이 많기 때문에 노년의 겨울 보양음식으로는 아주 적합한 음식이다.

다음으로 술을 들 수 있는데, 술은 열성(熱性) 음료이기 때문에 노인들이 매일 아침 일어나 인삼주나 황기주(黃기酒) 한잔(작은 잔)을 마시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한기(寒氣)를 막아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는 효능을 발휘한다.

체질이 비교적 허약한 노인은 암탉 곰탕, 질 좋은 살코기, 힘줄이 달린 족발, 우유, 두유 등을 섭취하면 체력을 증강시킨다.

그리고 쇠고기와 정종, 파, 생강을 같이 넣고 푹 고아서 같이 먹게 되면 기력을 증진하고 갈증을 없애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양기(陽氣)가 부족한 노인은 여기에 육종용 15g, 파극천 15g, 구기자 15g을 같이 넣어 조리해 먹으면 효과를 더욱 상승시킨다.

이상에서 이야기 하는 것은 노년의 겨울보양에 대한 총체적인 원칙이다.

사실, 겨울철 보양에 적합한 음식은 위에서 이야기 한 음식에 그치지 않는다. 이런 종류의 음식은 크게 네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식물성 자보품(滋補品)이다.

이런 보양재로는 홍삼, 건삼(乾蔘), 두충, 산약(山藥: 마), 서양삼(西洋蔘), 호도, 용안육(龍眼肉), 당귀, 하수오, 구기자, 황기, 당삼, 백출, 토사자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호도나 용안육 등은 보익식품(補益食品)인 동시에 보기식품(補氣食品)이며 그 효력 역시 상당하다.

둘째, 동물성 보양식품을 들 수 있다. 이에는 오징어, 녹용, 해삼, 아교 등이 있다.

셋째, 가정에서 손쉽게 해 먹을 수 있는 식보(食補)의 재료가 있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이 많이 함유된 음식, 그리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으로는 멥쌀, 찹쌀, 옥수수, 밀, 황두(黃豆), 완두, 부추, 향채(香菜), 마늘, 홍당무, 원추리, 양고기, 쇠고기, 개고기, 닭고기, 잉어, 갈치, 연어, 새우, 귤 등이 있다.

노인들의 겨울철 보양식은 비록 많지만 올바른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규칙을 잘 따라야 한다.

1. 겨울철은 식욕이 비교적 왕성해지고 흡수기능이 비교적 잘 발휘된다는 특징에 의해 열량(熱量)이 높고 영양이 풍부하며 보익(補益)하는 효능이 강한 음식을 골라야 한다.

양고기, 개고기, 쇠고기, 닭고기 등의 동물성 보품(補品)이 그것이다.

2. 자신의 건강상태나 신체상황, 그리고 몸의 어느 부분이 허(虛)한가를 확실히 알아서 그에 알맞은 섭생을 해야 한다.

그래야 보양의 상대성이 높아지고 혹여 생길지 모르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인의 조언이 필요하다.

3. 지병(持病)이 있는 경우에는 자신에게 맞는 식품을 적당하게 섭취해야지 맹목적으로 먹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삼 등의 식품은 비교적 적합하지만 감초나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콜레스테롤이 높은 고지혈증, 동맥경화, 담낭염, 통풍 등이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고단백질(高蛋白質), 고지방(高脂肪), 다당분(多糖分)의 음식은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된다.

결론적으로, 겨울철 보양, 특히 봄을 바라보는 늦겨울의 보양은 노년의 체력을 증강시키고 질병의 회복을 빠르게 해주기 때문에 보양하기에 아주 좋은 시기이다.

이런 때에 온당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보양하는 것은 노인들의 체질을 개선시켜줄 뿐 아니라 인체의 저항력을 높이는 데 아주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