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네번째로 국보 되는 '삼국유사'… 범어사본 '보물'에서 승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화재청이 국보로 지정 예고한다고 29일 밝힌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부산 범어사 소장본) 표지. [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이 국보로 지정 예고한다고 29일 밝힌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부산 범어사 소장본) 표지. [사진 문화재청]

고려 일연(一然) 스님이 1281년(충렬왕 7년) 편찬한 한국 고대사 연구의 보고(寶庫) 『삼국유사』가 역대 네 번째로 국보에 지정된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판본인 1394년 판각본 중에 인출(印出, 인쇄) 시기가 가장 빠른 자료로서 상태 역시 가장 양호하단 점에서 서지학적 가치가 인정됐다.

고려 일연 스님이 편찬한 한국 고대사 보고 #1394년 판각본 중 양호해 서지학적 가치 #세계 유일 원나라 법전 '지정조격'은 보물로

29일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에 따르면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2002년 지정)는 부산 범어사 소장본으로 총 1책이다. 범어사 초대 주지를 역임한 오성월(吳惺月, 1865~1943) 스님이 소장하다 1907년쯤 범어사에 기증한 것으로 전해진다. 삼국유사는 원래 전체 5권이지만 범어사본은 권4~5만 있다. 하지만 기존 지정본에서 빠진 제28∼30장을 보완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자 1512년(중종 7년) 간행본의 오탈자를 확인할 수 있단 점에서 역사‧학술적인 중요성이 크다.

‘삼국유사’의 첫 간행 시기는 알려지지 않고 고려시대 판본도 전해지는 게 없다. 앞서 국보로 지정됐던 3종 중 제306호(2003년 지정)와 제306-3호(2018년 지정)도 범어사본과 같은 1394년 판본이다. 306호는 권3~5만, 306-3호는 권1~2만 전해진다. 이에 비해 국보 제306-2호는 1512년(중종 7) 경주에서 간행된 정덕본(正德本) 삼국유사로서 완질이다. 2002년 보물 제419호로 지정됐다가 이듬해 국보로 승격됐다.

국보로 지정 예고된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는 총 1책으로 전체 5권 중 권4~5만 남아 있다. [사진 문화재청]

국보로 지정 예고된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는 총 1책으로 전체 5권 중 권4~5만 남아 있다. [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진 원나라 법전인 ‘지정조격 권1∼12, 23∼34’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지정조격’은 경북 경주시 경주 손씨(孫氏) 종가에 보존돼 오던 1000여 점의 유물 가운데 묻혀 있다가 2003년 존재가 확인돼 큰 화제를 모았다.

1346년(고려 충목왕 2년, 원나라 순제 6년)에 간행된 원나라 최후의 법전으로, 중국에선 이미 명나라 초기에 원본이 사라졌다고 알려진다. 우리나라엔 고려 말에 전래돼 법제사 및 문화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고려 말까지 형사법 등의 기본법제로 채택됐다.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황정연 연구사는 “문화재보호법에선 외래품이라도 우리 문화에 중요한 의의가 있는 회화‧조각‧공예품 등을 국보나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고 하면서 “실크로드 교역품으로 추정되는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보물 제624호) 등 몇몇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장용영 본영도형 일괄(壯勇營 本營圖形 一括)’도 보물 지정예고 됐다. 정조 재위 1776∼1800) 때 친위부대였던 장용영이 주둔한 청사의 본영(本營)을 1799년(정조 23년, 기유본), 1801년(순조 1년, 신유본)에 그린 건축화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