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

중앙일보

입력

Q : 저는 29세 직장인입니다.
저는 작년 12월경 교통사고로 목을 좀 다쳤습니다. MRI촬영 결과 왼쪽경추 4-5번에 디스크를 확인하였습니다. 현재 그럭저럭 생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겨울이 되고 보니 증세가 나타납니다.어떻게 해야 할까요.

몇까지 질문을 하겠습니다.
1. 현재 저의 증상은 목주위와 양쪽어깨의 근육이 아픈상황이며(왼쪽이 심함) 1시간 정도의 운전에도 목이 뻐근합니다. 아직까지 팔이 져려온다거나 마비증상은 없습니다.
전문의 소견으로는 어떤 상황으로 보십니까?

2. 잠잘때 어떤 높이의 베개을 어떻게 배고 자야 합니까?

3. 상황의 악화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이나 치료에 대하여
알려주십시요.

4. 집에서나 사무실에서 사용할수 있는 의료기기는 어떤것이 있는지 소개를 부탁합니다.

5. 최악의 경우에 어떤수술을 어디서 받아야 되는지를 소개해 주십시요

A : 문의하신 번호대로 답을 해드리겠습니다.

1. 현재 저의 증상은 목주위와 양쪽어깨의 근육이 아픈상황이며(왼쪽이 심함) 1시간 정도의 운전에도 목이 뻐근합니다. 아직까지 팔이 져려온다거나 마비증상은 없습니다.
전문의 소견으로는 어떤 상황으로 보십니까?

답: 호소하시는 증상으로보아 경추 좌측 4-5번 디스크가 있다고하나, 팔까지 내려오는 통증이나 감각 혹은 운동 마비등의 소견이 없으므로 디스크로 인한 신경 압박 정도는 심하지 않은것으로 사료됩니다. 아직 수술등의 적극적인 치료보다는 견인 및 더운물 찜질 등의 보존 치료를 지속하시면 증세 호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 잠잘때 어떤 높이의 베개을 어떻게 배고 자야 합니까?

답: 베개의 높이는 너무 높거나 너무 낮지 않는 중간 정도의 높이가 적당하며, 체형에 따라 변화가 있으므로 누워서 가장 편하게 느끼는 정도면 되겠읍니다,

3. 상황의 악화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이나 치료에 대하여
알려주십시요.

답: 목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목 운동과 목 부위및 양 어깨부위에 뜨거운 물 혹은 전기 찜질을 하시면 합니다. 가까운곳에 물리치료가 가능한 의료 기관을 이용하시면 훨씬 도움이 되겠읍니다.

4. 집에서나 사무실에서 사용할수 있는 의료기기는 어떤것이 있는지 소개를 부탁합니다.

답: 전기 찜질기나 경추를 가볍게 고정할수 있는 보조기를 사용하시면 증상 호전을 기대할수 있읍니다.

5. 최악의 경우에 어떤수술을 어디서 받아야 되는지를 소개해 주십시요

답: 수술은 임상 증상 및 진찰 소견에 따라 결정 되어야 하며, 디스크의 정도에 따라 목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접근 하는 방법이 있읍니다. 수술 방법은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척추 질환 전문의와 상의하심이 바람직할것입니다.

<연세의대 영동세브란스 신경외과(척추전문) 조용은 교수님>

A : 사고등에 의해 경추부에 심하게 충격을 받은 경우 추간판 (디스크)의 손상으로 퇴행성의 변화가 일어나 만성적인 경부통을 일으킬 수 있읍니다.
심하게 후방돌출된 경우는 신경을 눌르기 때문에 근력약화등의 신경증상이 나타나지만 돌출이 없더라도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자체가 통증을 유발합니다. 증상이 계속되면 MRI등의 정밀 검사가 확진에 도움이 되며 평소 조심해야할 것으로 베개는 베개속이 있는 약간 딱딱한 것을 사용하여 목이 앞으로 약간 숙여지는 자세가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목근육의 강화로서 목이 불편하다고 목을 자꾸 돌리거나 꺽어보는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것입니다. 목근육의 강화운동으로 이마에 손을 대고 머리를 앞으로 밀어서 열까지 센후 다시 뒷통수에 손 을 대고 머리를 뒤로 미는 방법등이 있읍니다. 도움이 되는 의료기기등은 병원에서 시행하는 트랙션이나 전기자극, 물리치료 등이 도움이 되며 이런 모든 보존적인 방법에 효과가 없을 때에는 원인을 일으키는 디스크를 제거하고 단단하게 고정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인제의대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서정국과장님< p>

A : 보내주신 자료 잘 받아 보았습니다
목만 뻐근하면 아직 디스크 증상으로 이야기 하기는 이릅니다.
목이뻐근 할때는 가까운 재활의학과에서 물리치료를 받도록 해 주세요.
심할 때는 목 보조기가 도움이 됩니다.
현재 증세가 수술을 할 정도는 아니나 증세가 심해지면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 02-361- 6352) 나 신경외과에서 진찰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세대 신촌세브란스 병원 재활의학과 박창일교수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