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약 공급차질…식약청 비상체제 돌입

중앙일보

입력

의약분업이 코앞에 닥친 시점에서 의료계가 20일 집단폐업에 나서겠다며 반발하는 가운데 처방약조차 약국에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분업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이 분업 성패를 좌우할 의사 처방약 공급과 배송책임을 맡고 있는 의약품 제조.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처방약이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강력한 행정지도를 펴기로 하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대한약사회에 따르면 분업시행 10여일을 남겨두고 있는 이날 현재까지 전국 1만8천여개의 약국에 대한 처방약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약사회 관계자는 "제약업체와 도매업체들이 의료계 반발 등으로 의약분업 시행에 대한 확신을 못가진 채 약국에서 주문하는 처방약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켜 주지 않아 약국마다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제약업체는 약국이 요구하는 30정, 50정단위의 소포장 생산이 가능한데도 이를 미루고 도매업체는 또 제약업체가 소포장 공급을 꺼려 어쩔 수 없다고 하는 등 이른바 `소분문제´를 두고 서로 책임 떠넘기기를 하고 있어 처방약 공급이 지연되는 것같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의약분업 연착륙의 열쇠를 쥐고 있는 처방약 공급이 지지부진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자 보건당국이 뒤늦게 의약품 수급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다.

허근 식약청장은 지난 17일 임성기 한국제약협회장과 로런스 스미스 한국다국적 의약산업협회장, 이희구 한국의약품도매협회장, 김희중 대한약사회장 등 약계 4 단체장과 긴급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식약청은 제약협회로부터는 소포장단위 의약품을 오는 24일까지 약국에 최대한 공급하겠다는 다짐서명을 받았으며, 도매협회로부터는 개봉된 소분의약품이라도 공급된다면 신속한 배송체계를 갖추어 약국에 차질없이 공급하겠다는 합의서명을 받았다.

식약청은 의약품제조.유통업계의 약속이 잘 이행될 수 있도록 이날부터 처방약 공급 비상체제로 돌입, 제약업소와 도매업소을 대상으로 집중점검에 나설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