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소아비만의 진단기준

중앙일보

입력

비만이란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피하층과 체조직에 과도한 양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최근 경제성장으로 생활환경이 편리해지고 활동량이 부족하여 열량 소비가 감소한 반면 식생활의 서구화로 열량 섭취가 증가하여 소아 비만증이 우리나라에서도 전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소아 및 청소년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하기 쉽고, 또한 일생동안 건강한 식생활과 활동적인 생활 양식을 필요로 하는 치료하기 어려운 만성질환이다.

고도 비만아들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및 동맥경화증 같은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소아의 비만은 성인의 비만증으로 이행될 위험성이 많다. 비만증은 고지혈증,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정형외과적 장애 등 만성 질환을 증가시키는 위험 임자로 작용하며, 정서적 장애를 일으켜 성인병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소아 비만을 선별하여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은 소아과의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소아 비만을 선별하는데는 우선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과 기준이 필요하다. 비만을 평가하는 기준으로서는 신장에 대한 표중 체중치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 피부두께(skinfold thickness), 상완둘레(upper arm circumference) 등이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관한 보고들이 나와 있으나 시기적으로 너무 오래되었거나 제한된 지역이나 연령층에 국한되어 있어서 현재 우리나라에 전체적으로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이번에 소아과학회에서 우리나라 정상 소아의 발육표준치와 비만과 관련된 항목들을 측정하였고,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 지침´을 제정하였다.

소아비만의 진단기준

1. 체질량 지수
체질량 지수(BMI)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성별, 연령에 비교하여 85~94백분위수이면 비만위험군으로 추적 관찰할 대상으로 분류하였고, 95 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체지방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고, 비만의 이차적인 합병증의 표식자인 혈압, 지질, 혈청 지질단백치, 사망률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체질량 지수를 비만의 판정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체질량 지수는 체중과 신장만 측정하면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체지방 상태와 관련성이 좋게 때문에 성인에 있어서는 비만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소아에서도 비만증을 선별하는데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BMI가 소아에 있어서 신체 지방을 추정하는데 좋은 지표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론이 있지만 역학적 또는 예방의학적인 선별 목적으로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BMI는 소아비만의 합병증(고지혈증, 고혈압, 심혈관 질환등)과의 관련성이 많다.

2. 피부두께
삼두박근과 견갑골 하부의 피부두께가 성별, 연령에 비교하여 95 백분위수 이상일 때 비만이다. 피부두께는 근육과 뼈가 증가하는 과체중과 비만을 감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피부두께의 측정은 피하지방의 두께를 측정하기 때문에 체내 지방을 추정하는데 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두께는 피하지방을 측정하는 것이지, 체내 지방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삼두박근 피부측정은 측정 기술이나 계측기의 종류에 따라 측정치에 차이가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 특히 체지방이 증가함에 따라 신뢰도가 감소한다.

피부두께는 임상적 연구나 역학적 목적으로 소아에서 많이 사용하는 체성분을 평가하는 간단한 수단이다. BMI가 골격크기나 근육 질량의 증가를 반영하는 반면에 삼두박근에서 피부두께의 측정은 오히려 체지방 증가를 반영한다.

3. 비만도
성별, 연령층, 신장별 체중 50 백분위수를 표준체중으로 비만도를 계산하여 20%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였고, 이 중에서 20~30%는 경도 비만, 30~50% 중등도 비만, 50% 이상을 고도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비만도(%) = (실측 체중-신장별 표준체중)/신장별 표준체중 * 100

4. 신장별 체중
신장, 성별에 비교한 체중이 95 백분위수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하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