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재난기본소득, 필요하면 정부도 진지하게 고민”

중앙일보

입력

정세균 국무총리.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는 2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적 피해 최소화를 위해 재난기본소득이 논의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부정적 입장을 취하기보다는 정치권 뜻을 받들어서 정부가 어느 정도까지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진지하고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JTBC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여당이 재난기본소득에 대해 엇박자를 내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1차로 추경 등 조치를 했고 2차적으로 각 지자체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 그다음에 (지원이) 필요하면 정부에서 그런 노력을 해야 할 거 아닌가 하는 진지한 고민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향후 코로나19 대응 2차 추경안 편성에 대해서는 “그래도 한 달여가 지난 다음이어야 될 터”라며 “총선이 끝나고 나서 추경은 국회와 협의를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그 이전에는 금융 안정이나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지원, 기업들의 형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시기나 폭을 검토만 하고 있다”고 밝혔다.

27일 0시부터 시행되는 미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역 강화조치와 관련해서는 “미국 입국자 중에서 확진자가 급증하거나 또 전체적으로 방역을 감당할 수준이면 미국에서 입국하는 분들에 대해서도 더 밀접하게 방역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미국의 확진자 수가 5만5000명을 넘었으니 상당히 심각한 상태”라며 “지역별로 편차는 있지만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하면 좀 더 긴장해서 전수조사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4월 6일 개학과 관련해서는 “우선 코로나19가 안정화되어야 하고, (개학을 위한) 공감대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이런 조건이 충족이 되면 내달 6일 개학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을 중간평가 해달라’는 요청에는 “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본다”며 “일단 최선을 다해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국민의 협조 아래에서 성공적인 방역이 이뤄진 후에나 평가할 일”이라고 말을 아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