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팡질팡하는 사대입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90학년도 대학입시원서 접수(11월21일)를 불과 38일 앞두고 사범계대학 입시시행지침이 갈팡질팡해 수험생들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문교부는 지난4일 전국 사범계대학과 교육 대에『적성검사와 면접고사를 실시, 결과를 점수화해 총점에 각각 5%이내씩 반영하라』는 입시세부 시행계획을 시달했었다. 그러나 문교부는 1주일만인 11일 돌연 긴급전언 통신문을 통해 이 지침을 취소했다.
문교부는「교육대 및 사범계대학 입시시행계획 추가통보」에서『적성검사와 면접고사의 점수화는 대학의 자율적 결정으로 시행하거나 면접고사만을 시행하되 합격, 불합격의 자료로만 활용토록 하라』고 지시했다.
문교부의 이 같은 취소소동은 각 사범대의 반발에 따른 것이다.
지난10일 열린 국립사대 학장회의에서 이미 88학년도부터 사대에서 면접고사성적 2%를 반영하고있는 서울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이『시일이 촉박해 적성검사에 필요한 표준화도구를 자체 제작할 수 없으며 면접고사의 점수화로 객관성을 유지키 위해 좀더 연구 검토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 재고해줄 것을 문교부에 요청했다. 적성검사와 면접고사의 점수 화는 교직적격자를 선발키 위한 조치로 8월30일 교육정책자문회의의 건의를 수용한 것이다.
정원식 문교부장관은 지난달 6일 발표한 야심에 찬「학교교육 쇄신을 위한 당면시책」에서 90학년도 입학 자부터 적용하되 중앙교육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수립, 교육공무원 법을 개정해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었다.
그러나 중등교원양성을 담당하는 교직국은 충분한 여론수렴 과정과 연구·검토 없이, 그리고 지난 3월14일 대학별 입시요강이 확정 발표돼 이 시점에서 적성검사 등의 점수화를 추가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교부 내부의 이견조차 무시하고 각 대학에 강요했다.
이에 대해 문교부는『대학들의 의견을 수렴, 점수화를 취소해 문제될 것이 없다』고 강변하지만 점수화가 알려진 지난 1주일동안 수험생 88만 여명과 학부모에게 안겨준 압박감과 부담감은 누가 어떻게 풀어줘야 할지 묻고싶다.
한 국립사대 학장이『이번 취소소동은 문교정책이 얼마나 주먹구구식이고 탁상행정인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 라고 말하는 것처럼 이제 문교행정은 더 이상 표류해서는 안되고 전문성을 찾아야한다.
도성진<사회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