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라이프 트렌드] 나무 탓에 위험? 숲가꾸기패트롤 출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7면

숲가꾸기패트롤 팀이 민원 현장에 출동해 생활에 지장을 주는 나무와 가지를 정리하고 있다.

숲가꾸기패트롤 팀이 민원 현장에 출동해 생활에 지장을 주는 나무와 가지를 정리하고 있다.

지난 13일 충남 논산시 연산중학교 체육관 옆에서는 나무 제거 작업이 한창이었다. 수령 30년을 넘긴 대형 전나무들이 학교 시설물과 운동장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학생 안전을 위협했기 때문이다. 나무 제거 작업은 산림청 숲가꾸기패트롤팀이 맡았다. 학교 측은 “태풍이나 집중호우 때 시설물 쪽으로 나무가 넘어와 위험한 상황이었다”며 “학교가 감당하기 어려워 숲가꾸기패트롤에 요청했다”고 말했다.

‘산림 민원 119’ 대활약

숲가꾸기패트롤은 주택 안전을 위협하거나 농경지까지 뻗어 농사에 지장을 주는 나무 등 산림재해 민원을 전담 처리하는 인력이다. 일종의 산림 민원 119로 불린다. 이런 일을 하는 인력이 내년에 대폭 늘어난다.

내년에 800명 더 뽑아 활동 강화

산림청은 지난 25일 내년에 숲가꾸기패트롤 800명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숲가꾸기패트롤은 2009년 시범 운영한 뒤 해마다 늘었다. 현재 숲가꾸기패트롤은 전국 27개 국유림관리소에서 135명이 활동 중이다. 800명을 추가로 모집하면 총 인원은 935명이 된다. 800명이 활동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107억7600만원(인건비 등)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숲가꾸기패트롤 인력이 부족해 긴급한 산림 재해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내년에 대규모로 충원해 산림 민원을 제때 해결해 국민안전을 지키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숲 가꾸기 민원 처리 실적은 2015년 수목 1만6000본에서 2018년 2만7000본으로 증가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패트롤 서비스는 지역별 편차가 심한 편”이라며 “관할구역이 1개 지자체인 관리소(영월·삼척·울진)는 처리 기간이 평균 3일로 즉각적인 민원 대응이 가능한 수준이나 관할구역이 넓고 수요가 많은 서울·부여·양산 등지의 관리소는 평소에도 2~4주 걸려 민원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산림청은 해마다 11월을 숲 가꾸기 기간으로 운영한다. 봄철에 심은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보살피고 녹화한 산림을 가치 있는 산림자원으로 육성하자는 차원이다. 조림목이 성공적으로 활착하게 하고 숲의 연령에 따라 단계별로 잘 자랄 수 있게 하는 게 숲 가꾸기 사업의 주요 내용이다. 5년 미만의 나무는 풀 베기나 넝쿨을 제거해 준다. 또 5~10년생은 잘 자라도록 관리에 집중하고, 15~40년 된 나무는 솎아베기·가지치기 등을 해준다.

시민 대상 숲 가꾸기 체험도 마련

산림청의 계획을 보면 우선 숲 가꾸기 1일 체험 행사를 펼친다. 기관별로 특색 있는 작업종(어린나무 가꾸기, 솎아베기, 비료 주기)을 선택해 추진하되 청소년·시민·산주(山主) 등에게 많은 참여 기회를 주도록 했다. 숲 가꾸기 대상지는 덩굴류 피해를 본 조림지, 일반 산림과 도로 가시권 내 산림, 기념조림지, 기관 소유 임야, 생활권 주변 녹지(녹지대·가로수·마을숲·학교숲), 휴양림, 청사 주변 숲 등이다.

사랑의 땔감 나누기 행사도 진행한다. 숲가꾸기 사업에서 나오는 산물 중 활용이 낮은 나무를 수집해 혼자 사는 노인 등 어려운 이웃에게 나눠주는 것이다. 박종호 산림청 차장은 “1980년대 이전 우리 숲은 치산녹화 사업으로 녹화에는 성공했지만 임목 축적량은 ha당 154㎥로 산림 선진국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라며 “산림은 연령에 따라 숲 가꾸기를 해야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