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찰 무마 의혹' 유재수…뇌물 혐의로 9개월만에 검찰 출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 송봉근 기자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 송봉근 기자

뇌물수수 혐의를 받는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검찰에 소환됐다. 김태우 전 검찰수사관이 유 부시장에 대한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감찰 무마 의혹을 제기하며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등을 고발한 지 9개월 만이다.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부장 이정섭)는 21일 오전 9시 15분쯤 유 부시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유 부시장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혐의를 적용했다. 이는 수뢰액이 3000만원이 넘는다는 뜻으로 검찰은 유 부시장의 개인 비리 의혹을 집중적으로 조사 중이다.

이 수사는 지난 2월 당시 청와대 특감반원이었던 김 전 수사관의 고발로 시작됐다. 김 전 수사관은 “2017년 하반기 유 부시장 사건은 최초 모 특감반원이 제보 상태로 입수해 저를 포함한 나머지 3명의 특감반원에게 처리 방향을 묻고 함께 숙의했던 사안”이라고 말했다. 당시 유 부시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산운용업체 K사가 420억원의 성장 사다리 펀드 운용사로 선정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등 3건의 비위 혐의가 포착됐다고 한다. 또 유 부시장이 미국에서 벤츠 승용차 두 대를 소유하는 등 공무원 급여로는 누리기 힘든 환경도 다수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수사관은 “그러나 이후 윗선 지시로 감찰이 중단됐다”며 “유 부시장은 징계조차 받지 않았고, 조용히 사표 쓰고 오히려 부산시 부시장으로 영전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으로 김 전 수사관은 조 전 장관을 직무유기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검찰은 지난달 30일 유 부시장 비위 의혹과 관련된 건설업체 등을 압수수색하며 강제 수사에 돌입했다. 이후 유 부시장이 근무했던 금융위에 이어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자택, 부산시청 경제부시장실, 부산시 관사 등 유 부시장의 주거지와 집무실을 압수수색하며 수사에 진척을 보였다.

검찰은 유 부시장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의혹을 받는 업체 관계자들로부터 유 부시장에게 골프채와 이코노미 클래스 항공권, 차량 등을 제공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들은 “유 부시장과 오랜 시간 알고 지내던 친구 사이의 선물이었다” “금융권 모임에서 만나 알고 지냈던 것은 맞지만, 특별히 청탁할 사안이 없다”는 취지로 대가를 바란 뇌물이 아니었음을 강조했다고 한다.

검찰은 이날 조사에서 유 부시장의 개인 비리를 규명하고, 감찰 무마 의혹으로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김 전 수사관의 주장처럼 유 부시장의 비위를 알고도 감찰을 중단하라고 했다면 직권남용, 직무유기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수사 중단의 주체가 민정실 차원을 넘어선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김 전 수사관은 이를 염두에 둔 듯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유 부시장의 해외 계좌 거래 내역을 달라고 요구한 이후 감찰이 중단됐다”며 “유재수 사건은 문재인 정권의 아킬레스건”이라고 말했다.

유 부시장은 부산시에 사의를 표명했으나 부산시는 아직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있다. 이날 조사 후 검찰의 향후 수사 방침에 따라 직권면직 처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