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 “수학 난이도 작년과 비슷…중간 난이도 문제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20학년도 수능 수학영역 시험지. [연합뉴스]

2020학년도 수능 수학영역 시험지. [연합뉴스]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교시 수학영역은 지난해와 비슷한 난이도로 평이하게 출제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난이도 중간 문항이 늘어 최상위권 응시생과 중상위권 응시생의 체감난이도가 달랐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상담교사단은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날 수학 영역 출제경향을 분석해 발표했다. 소속 상담교사단 최영진 경기 금촌고 교사는 "자연계열 학생이 주로 응시하는 가형이 지난해 수능과 지난 9월 모의평가와 난이도가 비슷했다"고 말했다. 9월 모의평가를 통해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연습했다면 무난히 문제를 풀었을 것이라고 했다.

보통 인문계열 학생이 보는 나형도 마찬가지로 지난해 수능이나 올해 9월 모의평가와 난이도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됐다. 조만기 판곡고 교사는 "응시생들이 기본개념만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면 빠르게 풀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 "다만, 개념을 완벽하게 숙지 못 한 응시생들은 시간이 부족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유형 문제로는 가형 17번·18번·27번 문항 나형 21번·23번 문항이 꼽혔다. 고난이도 문제로는 가·나형 모두 21·29·30번 문항으로 분석됐다.

가형 17번의 경우 쌍곡선의 뜻을 알아야 해결할 수 있었고, 18번은 정규분포의 뜻과 성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다고 협의회는 분석했다. 또 종이접기를 통해 공간도형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27번 등이 새로운 유형의 문제로 파악됐다.

고난도 문항은 예년처럼 객관식 마지막 문제인 21번과 주관식 마지막 두문제 29번과 30번이 꼽혔다. 21번은 함수 그래프의 개형과 정적분의 의미를 알아야 하고 29번은 벡터와 직선의 방정식을 활용할 수 있어야 가능했다. 30번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했다.

나형의 경우 수열을 귀납적으로 정의한 뒤 다시 식을 구성해야 하는 21번과 적분 식으로 표시된 조건에 맞춰 함수의 값을 구해야 하는 28번 등이 신유형으로 꼽혔다.

나형도 가형과 마찬가지로 객관식 마지막 두 문제인 20번과 21번, 주관식 마지막 두 문제 29번과 30번이 어려운 문항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최고난도 문항은 30번으로 삼차 함수 실근의 조건과 그래프 개형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었다. 다만 조만기 교사는 지난해 30번보다는 쉬웠을 것이라 했다.

협의회는 고난도 문항은 줄어들고 난이도가 중간인 문항이 늘어 최상위권 학생들과 중상위권 응시생 간 체감 난이도가 달랐을 것으로 봤다. 특히 중상위권 응시생은 시간이 부족하고 다소 어렵게 느껴졌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본부는 이날 수학 영역 출제방향 브리핑에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적용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종합적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복잡한 계산을 해야 하거나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은 출제하지 않으려고 했다는 설명이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