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서초동 촛불 집회 참가 인원 비공개…앞으로도 일절 공개 없다”

중앙일보

입력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검찰개혁·사법적폐 청산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검찰 개혁과 공수처 설치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검찰개혁·사법적폐 청산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검찰 개혁과 공수처 설치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경찰이 지난 주말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개혁 촉구 집회 참가 인원 비공개 방침을 확고히 했다.

이용표 서울경찰청장은 30일 출입기자단 정례간담회에서 “경찰이 참가 인원을 공개할 경우 여러 논란이 야기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집회 인원은 일절 공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경찰의 집회 인원 파악 목적은 적절한 대비를 위한 것이지 외부 공개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게 이 청장의 설명이다. 그는 “집회 관리는 평화적이고 유연하게 하되, 폭력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현장에서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며 “여타 불법 행위는 사후 사법 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집회 계획과 진행 상황은 공지할 계획이다. 이 청장은 “시민들에게 미리 알려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며 “많은 인원이 모여 예기치 않은 안전사고가 날 수 있으니 지하철 등에도 안전요원을 배치해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朴 탄핵 찬반 집회 때부터 비공개

경찰은 2017년 1월부터 각종 집회 참가인원을 공개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세웠다. 박근혜 당시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 참여 인원을 놓고 논란이 일면서다. 그해 1월 7일 광화문 촛불 집회 주최 측은 참가자를 60만명이라고 밝혔으나 경찰은 2만4000여명으로 추산했다.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는 주최 측 추산 약 102만명, 경찰 추산 3만7000명이었다.

30배가량이나 차이가 난 건 집회 참가자를 추산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경찰은 충돌이나 안전사고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해당 공간에 특정 시점 기준으로 몇 명이 모였는지를 따진다. 가장 많은 인원이 모인 시점을 참가 인원으로 공개해왔다. 반면 집회 주최 측은 오간 인원을 모두 포함한 누적 인원을 집계한다.
이를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촛불 집회 참가 인원은 의도적으로 줄이고, 보수집회 참가 인원은 늘린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경찰은 자체 추산한 집회 참가 인원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미국, 일본, 이탈리아 등도 비슷한 논란을 겪은 후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 “200만” vs 한국 “부풀리기”

사법적폐청산 범국민시민연대는 28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제7차 사법적폐청산을 위한 검찰개혁 촛불문화제’를 개최했다.

이후 정치권에서는 집회 참여 인원을 두고 공방이 벌어졌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9일 “200만 국민이 검찰청 앞에 모여 검찰개혁을 외쳤다”고 말했다.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그 자리에 함께하지 못한 국민의 마음속에 켜진 촛불까지 합치면 1000만일 수도 있고, 2000만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민주당은 집회 참가자 숫자까지 부풀리며 국민의 뜻 운운하고 있다”고 맞섰다.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10만~20만명 정도 되었을 것”이라며 “애초에 지하철 처리 용량을 수십 배 초과한 수치를 제시했다”고 비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28일 4시부터 자정까지 2‧3호선 교대역과 2호선 서초역에서 하차한 사람을 총 10만2229명으로 집계했다.

경찰, 득표수 조작 의혹 ‘아이돌학교’ 압수수색

Mnet '아이돌학교' 방송 장면. [사진 Mnet]

Mnet '아이돌학교' 방송 장면. [사진 Mnet]

한편 Mnet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X 101’ 득표수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같은 채널 프로그램 ‘아이돌학교’ 압수수색도 진행했다.
이 청장은 기자간담회에서 “21일 아이돌학교 원본 데이터를 압수해 분석 중”이라며 “아이돌학교와 프듀X 제작진은 완전히 다르다”고 말했다.

경찰은 또 프로듀스 101 전 시즌에 대한 원본 자료를 압수해 분석 중이다. 이미 복수의 프로그램 관계자가 입건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프로듀스X 101 진상규명위원회’는 유력 데뷔 주자로 점쳐진 연습생이 탈락했다며 Mnet 제작진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고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혐의로 고발했다. 이후 ‘아이돌학교 투표조작 의혹 진상규명위원회’는 아이돌학교에도 투표조작을 의심할 정황이 있다며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고소‧고발장을 제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