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나은행 "초고위험 상품 투자비율 제한하겠다"…DLF사태 대책 마련

중앙일보

입력

파생결합펀드 사태와 관련해 KEB하나은행이 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연합뉴스]

파생결합펀드 사태와 관련해 KEB하나은행이 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연합뉴스]

KEB하나은행이 초고위험 상품의 투자비율을 고객 예금자산의 일정 수준 이내로 하는 투자한도를 두기로 했다. 대규모 원금 손실이 발생한 해외 채권금리 연동 DLF(파생결합펀드)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이다.

KEB하나은행 고위 관계자는 24일 “DLF 사태와 관련해 분쟁조정 절차에 적극 협조하고 고객 보호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아울러 고객 자산관리에 대한 은행의 정책, 제도, 프로세스를 성과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전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고위험 투자상품에 예금자산 대비 투자한도를 설정하는 내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확한 한도는 논의 중이지만, 위험등급 1등급의 상품은 예금자산의 10%, 1~2등급 상품을 합쳐서는 30%까지로 상한선을 두는 방안이 현재로선 유력하다.

최근 만기가 도래해 원금 손실이 확정된 해외 채권금리 연동 DLF는 위험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상품이었다. 투자한도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러한 초고위험상품에 지나치게 자산을 ‘몰빵’하는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채권금리 연동 DLF의 경우 최소 가입금액이 1억원이기 때문에, 예금자산 대비 투자한도를 10%로 설정하면 예금자산이 10억원 이상인 고액 자산가만 이 상품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손님 투자 분석센터’도 본점에 신설한다. 그동안은 고객이 어떤 상품에 투자할지는 담당 프라이빗뱅커(PB)와 상의해 결정하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고객의 객관적인 투자성향 분석을 위해 PB고객 투자도 본점의 승인단계를 거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은행 관계자는 “마치 대출을 해줄 때 은행 본점의 여신심사위원회의 승인을 거쳐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PB 양성 체계도 바꾼다. 개인금융 뿐만 아니라 기업금융과 투자은행(IB) 업무에 전문 역량을 갖춘 직원을 PB로 키우기로 했다. 투자상품에 내재한 위험도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PB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봐서다.

KEB하나은행은 하반기부터 PB의 핵심성과지표(KPI)에 고객수익률을 포함한 고객관리 비중을 2배 이상으로 대폭 상향조정했다. 앞으로도 평가체계는 고객 중심으로 개선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23일 전국 영업본부장 회의에서 평가제도 개선, 고객 투자상품 모니터링 조직 신설 등 제도 개선책을 발표했다. 같은 날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해 “성과보상체계와 내부통제시스템을 개선해 다시는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강조했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은 각각 독일 국채금리와 미국·영국의 이자율스와프(CMS)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F를 판매했다. 우리은행의 19일 만기 DLF는 -60.1%, 24일 만기 상품은 -63.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KEB하나은행의 DLF 수익률은 -46.4%로 확정됐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