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돼지고기 섭취해도 문제없다"

중앙일보

입력

20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심신고가 들어온 경기도 파주시 양돈농가 인근에서 방역당국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심신고가 들어온 경기도 파주시 양돈농가 인근에서 방역당국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보호위원회는 20일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해 "인간에게 감염되지 않아 무해하며, 돼지고기를 섭취해도 문제없다"는 내용의 의견문을 발표했다. 의협은 "이 병의 주된 전파 경로가 육가공품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 반입을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권고문의 주요 내용.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ASFV)는 인간에게는 무해하지만 돼지에게는 치명적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멧돼지를 포함한 돼지과 동물에만 국한돼 감염됩니다. 돼지 간의 전파는 감염된 돼지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비강이나 경구로 흡수되어 일어나게 되며,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서 전파되기도 합니다. 고병원성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돼지는 수일안에 100% 치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사람 감염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도 사람 전파 위험성은 없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아직까지 치료제는 없고 백신 연구는 현재 진행중입니다. 이런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전파에 인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돼지고기나 그 부산물을 가지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 바이러스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환경이나 돼지고기 부산물에서의 생존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육포나 소시지 등을 가지고 입국하게 되면 잔류된 바이러스를 국내에 유입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육가공품을 국내에 반입하는 것은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다행히 열에 취약하여 75도 이상으로 수초만 가열하여도 사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돼지고기를 익혀 먹는 것이 오염된 돼지고기나 부산물의 잔반 등을 통해서 다른 지역의 돼지농가로 전파되는 것을 막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으며, 돼지고기를 섭취하는 것은 문제가 없음을 강조합니다.

신성식 기자ss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