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질환 치료 신물질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간장질환의 예방·치료효과가 있는 신물질이 최근 국내에서 개발, 신약후보 물질로 임상실험을 앞두고 있다.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이종욱 박사팀은 급성간염에 따른 간세포의 괴사(조직이 부분적으로 죽는 것)와 알콜의 대량섭취로 생기는 지방간을 억제하는 등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높은 신물질「YH439」를 4년여의 연구 끝에 개발했다고 4일 발표했다.
이 물질은 중금속 등 유해물질 때문에 생기는 과산화지질의 형성을 억제, 간 해독작용을 발휘하고 간세포의 재생능력을 대폭 높이는 것으로도 동물실험결과 입증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앞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완벽한 임상실험을 거쳐 신약으로 상품화되기까지 4∼5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이 신물질은 미국독성실험 전문기관 해즐톤 연구소(워싱턴소재)의 3개월에 걸친 동물실험에서 종전의 간장약에 있었던 조혈·중추신경·자율신경에 대한 부작용이 없는 등 안전성이 중간평가 됐다는 것.
또 유효성에 있어서는 간경변 치료제로 지난 86년 시판됐던 일본의 간 보호물질「말로틸레이트」보다 약3배 더 높은 효과를 냈으며 국내특허는 이미 출원된 것으로 밝혀졌다.
신약개발 및 상품화를 위해서는 종전 6∼7년 걸렸으나 안전성규제의 강화로 미국의 경우도 현재는 평균 12.5년이 소요되는데 이번에 개발된 신물질이 완전 상품화되면 일본(시장규모 2천1백억원)등 간질환자가 많은 동남아시장에서 특히 각광받을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