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소미아 종료 영향 장기화되면…반도체 업계 생산차질 우려

중앙일보

입력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로 국내 반도체 업계가 또 한차례의 악재를 맞게 됐다. 지소미아 종료 선언 다음날인 23일 증권가에선 지소미아 종료 파장이 장기화되면 국내 반도체 업계에도 추가 피해가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하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메모리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핵심 반도체 소재에 대해 3개월 이상 재고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돼 단기적 생산 차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수출 규제 강화로 통관 관련 허가 심사가 장기화할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향후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소재 구매 활동에는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1차 조치와 관련해선 한국 물자의 한국 수출이 성사됐지만 28일 시행을 앞둔 2차 조치는 우리 산업계에 실질적인 피해를 주기 위한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다만 반도체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내다봤다. 현물 가격 상승과 D램 재고 축소 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일본 수출규제 강화는 메모리의 안정적 조달에 대한 우려로 이어져 반도체 현물가격이 상승할 수 있어 고정 가격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D램 재고 축소 기회로도 활용될 수도 있어 장단기 관점에서 득과 실이 상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국내 소재와 장비 산업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란 평가다. 김 연구원은 “향후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하면 반도체와 2차전지 핵심소재에 대한 국산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라며 “일본이 독과점적 공급구조를 확보한 반도체 (에칭가스, 감광액, 전구체), 2차전지 (음극 바인더, 양극 바인더, 파우치) 소재는 이르면 내년부터 국산화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업체도 증착 장비 국산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전공정 장비(노광기, 증착기)와 반도체 이송장비(반도체 웨이퍼 이송장비, 로봇)는 일본 의존도가 80% 이상이기 때문에 이들 장비 업체도 국산화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