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매체 “文대통령, 연설서 불매운동 자제촉구?” 황당 해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회원 등이 지난달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의 무역보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제품 판매중지·불매운동을 선언하고 있다. [뉴스1]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회원 등이 지난달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의 무역보복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제품 판매중지·불매운동을 선언하고 있다. [뉴스1]

일본 매체가 문재인 대통령의 ‘제74주년 광복절 기념식’ 연설 내용 일부를 거론하며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대한 자제를 촉구했다”는 해석을 내놨다.

요미우리 신문은 15일 오전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경축식에서 문 대통령이 “두 나라(한일) 국민들 사이 우호가 훼손되지 않기를 바라는 수준 높은 국민의식”이라고 한 발언을 언급하며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문 대통령의 연설 전문을 보면 해당 문장 앞에는 “우리 국민이 경제보복에 성숙하게 대응하는 것 역시”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시민들의 자발적 일본제품 불매운동 등을 ‘성숙한 대응’ 차원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일본 매체가 이를 불매운동에 대한 자제를 촉구했다는 식으로 해석한 셈이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식 발언 일부를 인용하며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대한 자제를 촉구했다"는 식의 해석을 내놨다. [사진 요미우미신문 웹사이트 캡처]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식 발언 일부를 인용하며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대한 자제를 촉구했다"는 식의 해석을 내놨다. [사진 요미우미신문 웹사이트 캡처]

이 신문은 또 문 대통령이 일본과 대화·협력할 의사를 보인데 대해 더 이상의 대립 격화를 회피하려는 의도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미 관료들로부터 한일관계 개선 요구가 잇따른 것도 의식했다고 풀이했다.

북한이 잇따라 미사일을 발사하며 남북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한국과의 대화를 거부하는 가운데 동아시아에서의 고립을 탈피하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산케이 신문은 문 대통령이 “내년 도쿄올림픽에서 우호와 협력의 희망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말한 데 주목했다.

산케이는 한일 갈등이 심화하자 한국 내에서 도쿄올림픽 보이콧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면서 이를 염두에 둔 문 대통령이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메시지”를 보냈다고 분석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