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마법 항아리’ 청년통장…충북선 월 30만원 부어 4800만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우리동네 청년 혜택 <하>

충북의 한 중소 제조업체에 다니는 최모(38)씨는 지난해부터 적금 붓는 재미에 빠졌다. 최씨가 월 30만원 저축할 때마다 80만원으로 불어나기 때문이다. 충북도 등이 30만원, 기업이 20만원을 보태준다. 최씨는 ‘충북 행복결혼공제’ 가입자다.

지자체·기업서 상당액 보태줘 #강원, 15만원 5년 넣어 3000만원 #서울·대전은 3년형 1000만원대 #“결국 예산으로 채워 형평성 논란”

5년간 부으면 4800만원(이자수입 제외)을 손에 쥐게 된다. 최씨가 1800만원을 부었고 이게 2.7배로 불어난다. 물론 근속·결혼 조건을 충족해야 하지만 기준금리 1.5% 시대에 마법처럼 자산이 커진다. 행복결혼공제는 지난해 충북에서 첫선을 보였다. 그해 400명 모집인원을 다 채웠다. 올해도 인기다. 충북도 청년일자리팀 최온경 주무관은 “330명 마감이 몇 명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국의 12개 시·도가 충북처럼 청년의 자산형성 지원 제도를 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실신’(청년실업+신용불량)이라는 말이 유행하는 현실에서 목돈 마련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도별로 적금 기간이나 금액 등은 약간씩 차이 난다.

경기 2000명 모집에 2만명 몰려

‘청년실신’이라는 말이 유행하는 현실에서 전국 12개 시·도가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는 지원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의 ‘일하는 청년통장 1기 만기기념 행사’ 모습이다. [사진 경기도]

‘청년실신’이라는 말이 유행하는 현실에서 전국 12개 시·도가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는 지원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의 ‘일하는 청년통장 1기 만기기념 행사’ 모습이다. [사진 경기도]

관련기사

중앙일보는 지난 6일 목돈, 청년수당 등 전국 17개 시·도의 청년 대상 복지 제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우리동네 청년혜택(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363)’ 디지털 스페셜을 제작해 공개했다. 12개 시·도 중 자산 지원 규모가 가장 큰 데는 충북이고, 다음이 강원이다. 강원 ‘일자리 안심공제 지원사업’에 가입한 청년 근로자의 경우 월 15만원씩 5년 부으면 나중에 3000만원을 받는다. 근로자 900만원에 기업이 900만원, 강원도와 시·군이 1200만원을 보태는 방식이다.

‘3년형-1000만원대’ 목돈 정책이 가장 많다. 대전의 청년희망통장(1100만원), 서울 희망두배 청년통장(1080만원), 경기도의 일하는 청년통장(1000만원), 인천 드림 포(for) 청년통장(1000만원)이 그것이다.

경기도 청년지원팀 이소연 주무관은 “청년의 소득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목표 금액이 많거나 기간이 길면 자칫 만기를 채우지 못할 수도 있어 ‘3년-1000만원대’ 방식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이 방식대로라면 매월 10만~15만원을 저축하면 된다.

경북은 올 하반기 청년 근로자 사랑채움사업을 시작한다. 최대 혜택이 1060만원이다. 기간은 2년이다. 서울의 ‘2년형-700만원’ 방식보다 목표 금액이 많다. 다만 시범사업이라 경북 포항·경주·경상·구미 거주 청년만 해당한다. 전남의 청년 희망디딤돌 통장은 매달 10만원을 3년 부으면 720만원을 받는다. 충남의 시군 열혈청년 패키지 통장은 매달 10만원을 2년 부어 500만원이 된다. 여기에다 60만원 상당의 포인트를 받는다.

목돈 마련 정책 상위 7개 시·도.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목돈 마련 정책 상위 7개 시·도.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통계청의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국내 30세 미만 청년층의 평균 부채는 2397만원에 달한다. 이런 현실에서 이들 시·도의 자산형성 정책은 큰돈을 저축하지 않더라도 꾸준히 일하면 목돈을 쥘 수 있어 청년 자립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는다. 12개 시·도에서 대상자의 소득을 제한한다.

고용노동부도 전국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2016년부터 비슷한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시행 중이다. 채움공제 3년형에 참여하면 300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도 희망내일청년키움통장을 운영한다. 생계급여를 받는 기초수급자 청년이 대상이다. 3년 부으면 2196만원이 나온다.

“N포 세대 키다리 아저씨” 평가

중앙일보가 6일 공개한 ‘우리동네 청년혜택’ 홈페이지(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363). 시·도별 청년수당을 담았다.

중앙일보가 6일 공개한 ‘우리동네 청년혜택’ 홈페이지(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363). 시·도별 청년수당을 담았다.

자산형성 제도를 운용하는 12개 시·도 중 충북·강원·서울 등 9곳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할 수 없다. 다만 경남과 광주광역시, 대구는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연계해 목돈 정책을 운용하고 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외에 경남은 800만원의 추가 혜택을 받는다. 광주는 400만원, 대구는 270만원이다. 전북·부산·울산·세종은 목돈 정책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이 지역 청년 근로자는 정부의 내일채움공제 문을 두드려볼 만하다.

목돈 정책은 청년들 사이에서 ‘N포 세대 키다리 아저씨’ ‘저축 전도사’라는 평가를 받는다. 청년 사이에 인기를 끌면서 지난 6월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접수 홈페이지가 마비됐다. 2000명 모집에 2만여 명이 몰렸다. 대전의 한 블로거는 희망통장 가입 소식을 “신난다”고 표현했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한 스타트업 업체에 취업한 유모(28)씨는 “대기업 친구와 임금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희망키움통장 사업을 평가(2012)했더니 청년들의 경제 수준이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산형성지원 사업은 탈빈곤과 자립에 기여하고 빈곤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용하 순천향대 IT금융경영학과 교수는 “어떤 지자체도 재정이 100% 독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중앙정부가 (예산을) 채워줘야 한다. 형평성 논란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국 17개 시·도별 청년수당, 금융·부동산 관련 혜택의 세부 내용과 신청 방법은 중앙일보가 만든 ‘우리동네 청년혜택’ 디지털스페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민욱·황수연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