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협상 나서라는 트럼프에 '고슴도치 전략' 김정은

중앙일보

입력

지난 23일 전략무기인 잠수함(3000t급 추정)을 공개했던 북한이 25일 단거리 미사일 2발을 쏘며 군사적 긴장을 높이고 있다.
북한의 '이상 기류'는 미국과 비핵화 실무 협상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는 시점에서 드러나 ‘큰 그림’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관측이 많다. 미국은 지난달 30일 판문점에서 진행한 북ㆍ미 정상회동에 따라 이달 중 실무협상 개최를 준비해 왔다고 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당시 “수주 내 실무협상 재개”를 약속했다.

북한, 25일 단거리 미사일 2발 발사 사거리 영역.김주원 기자

북한, 25일 단거리 미사일 2발 발사 사거리 영역.김주원 기자

미국은 15일을 전후해 북한이 협상 장소와 일정을 통보할 것으로 기대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북한은 16일 “한ㆍ미 연합 훈련 중단”을 요구하는 카드를 내밀었다. 북한은 이달 말 태국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이용호 외무상을 보내지 않겠다는 의사도 알렸다. 당초 한ㆍ미 당국은 ARF 기간에 남북, 북ㆍ미 외무장관 접촉을 통해 분위기를 반전하는 계기로 삼으려 했다. 북한은 한국을 향해서도 쌀 지원을 거부했다. 이어 지난 16일 나포된 러시아 선박에 타고 있던 한국인 선원 2명의 안전 확인과 송환 요구에 대해서도 “확인 중”이라고만 할 뿐 묵묵부답이다.

잠수함 이어 미사일로 무력시위 #미국이 결단하라는 벼랑끝 전술

북한이 협상 착수의 기대감을 차단한 뒤 오히려 긴장을 고조시키는 고슴도치 전략을 구사하며 비핵화 협상과는 정반대로 가는 모양새다. 이를 두고 미국의 결단을 촉구하는 북한의 새로운 벼랑끝 전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은 지난 4월 미국에 새로운 셈법을 요구하며, 연말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연말까지 뭔가를 만들려면 지금부터 움직여야 하는데 지난해처럼 북한이 다가가는 게 아니라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식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북한이 지난 5월 4일 동해상에서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지대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 조선중앙통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북한이 지난 5월 4일 동해상에서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지대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 조선중앙통신]

특히 북한이 이날 강원 원산에서 쏜 미사일은 각각 430㎞와 690㎞를 날아갔는데, 이는 발사지점에서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체계가 위치한 경북 성주(390㎞)와 제주도(650㎞)가 사정권이다. 전현준 국민대 겸임교수는 “연말까지 협상 시한을 정한 북한이 다소 서두르는 모습”이라며 “전쟁이냐 대화냐 양자택일하라는 북한식 독촉술”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극도로 경계하는 중장거리 미사일이 아닌 단거리 미사일로 ‘레드라인’을 넘지 않으면서 레드라인에 다가갈 수 있다는 경고다.

이번 기회에 한ㆍ미 연합훈련을 근본적으로 손보겠다는 의도도 깔렸다는 관측도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부터 한ㆍ미 연합훈련이 진행될 경우 군부대방문이나 미사일 발사로 응수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지난 16일 외무성 대변인이 나서 공개 반발한 데 이어 잠수함을 공개하고 미사일을 발사했다. 북한이 반발하자 한ㆍ미는 ‘동맹’이라는 훈련 이름을 없애고 저강도로 진행할 수 있다는 의사를 언론을 통해 내비쳤다. 전직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한은 대화나 협상에 나올 생각이 없을 경우 아예 응대하지 않는다”며 “한ㆍ미가 북한의 반발에 다소 멈칫하는 모습을 보이자 한·미 연합훈련의 중단 또는 축소 약속을 받아내기 위해 더욱 공세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봤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