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너무 반듯한 교안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최민우 기자 중앙일보 정치부장
최민우 정치팀 차장

최민우 정치팀 차장

“저 황교안입니다.” 핸드폰에 이름이 뜨고 목소리도 맞았지만 그래도 의아했다. 바로 10분 전에 만났던 황 대표가 왜?

황교안 한국당 대표를 방으로 찾아간 건 5월 초였다. 당 공보실에 사정해 간신히 면담을 잡았다. 모 당직자의 거친 언행을 항의하기 위해서였다. 이럴 때 정치인 반응은 둘 중 하나다. “에이, 별것도 아닌 일로…”라며 은근히 면박을 주거나, “이런 나쁜 놈이 있나, 내가 아주 혼꾸멍을 내줄게”라며 더 흥분하거나. 물론 둘 다 말뿐, 실행에 옮기진 않는다.

그때도 별 기대는 없었다. 황 대표 역시 가타부타 말이 없었다. 만남은 채 5분을 넘기지 않았다. 사무실을 나오면서 ‘난 할 말 했으니 됐어’라며 애써 자위했다. 그런데 10분 만에 전화라니, 내가 뭐 잘못했나.

“당사자에게 얘기 건넸습니다. 지켜보시죠.” 순간, 살짝 감동했다.

황 대표 취임 초, 주변에서 그를 ‘디스’하는 경우를 보지 못했다. “아랫사람에게도 늘 존댓말 한다”는 등 듣기 민망한 ‘황(黃)비어천가’투성이었다. 그중 인상적인 대목은 “기성 정치인과 달리 공수표가 없다. 진짜 끝까지 챙긴다”는 말이었는데, 직접 겪고 보니 ‘신참 정치인으로 무기가 되겠다’란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변덕스러운 세상인심 탓일까. 그토록 칭송받던 황 대표의 반듯함과 성실함을 두고 최근 슬슬 뒷말이 나온다. “숨이 막혀 갑갑하다”는 식이다. 본인의 설화로 촉발된 외국인 노동자, 아들 스펙 등도 기성 정치인이면 눙치고 지나갔을 일을, 기어코 해명하다 사태만 키웠다. 황 대표는 당 사무처에 “나를 그냥 놀게 하지 마라”는 말을 자주 한다고 한다. 일정이 없으면 불안해한다는 거다. 무릇 정치란 무에서 유를 만든다고 하지 않나. 황 대표는 지금 뻔한 정답을 찾을 때가 아니라,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키울 때 아닐까.

최민우 정치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