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일관계 브레이크 걸렸지만…일본차 판매량은 ‘급가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 시장에서 독야청청 잘 팔리는 일본차

과거 독도 문제로 한일 관계가 악화했을때 국내서 벌어졌던 일본차 불매운동. [중앙포토]

과거 독도 문제로 한일 관계가 악화했을때 국내서 벌어졌던 일본차 불매운동. [중앙포토]

일본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제한으로 한일관계가 급랭하는 상황에서 국내 소비자가 지난달 일본차 구매를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수입 제한 조치가 지난 1일 발동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시장에서 일본차의 인기가 7월에는 다소 꺾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3일 국토교통부 자료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가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6월 주요 일본차 브랜드 판매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일제히 증가했다. 한국토요타(2690대·3위)가 도요타(+4.8%)와 렉서스(+37.2%) 브랜드 판매량을 동시에 늘리면서 BMW(3274대·2위)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타케무라 노부유키 한국 토요타 사장이 렉서스 ES300h 출시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타케무라 노부유키 한국 토요타 사장이 렉서스 ES300h 출시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특히 한국토요타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국내 소비자에게 상당한 사랑을 받는다. 렉서스 ES300h를 비롯해 UX250h·NX300h·RX450h 등 다양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국내 시장에 선보이며 판매량을 늘리고 있다.  지난 5월 출시한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라브4 하이브리드 등 일부 주력 차종은 출고 대기 기간이 증가하는 추세다.

역시 일본의 자동차 브랜드 혼다자동차(801대·7위)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판매량을 50.3%나 끌어올리며 수입차 업계 브랜드 판매별 톱10 진입에 성공했다(12위→7위).

일본차 브랜드별 판매량 변화 추이. 그래픽 = 김경진 기자.

일본차 브랜드별 판매량 변화 추이. 그래픽 = 김경진 기자.

이런 일본차 브랜드는 중형 세단 판매량이 많다. 렉서스의 ES시리즈(557대·5위)와 도요타의 캠리(552대·8위), 혼다자동차의 중형 세단 어코드(451대·10위)는 3대가 나란히 지난달 수입차 차종별 판매대수에서 톱10 자리에 올랐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3439대)·BMW 5시리즈(1453대) 등 독일차와 함께 중형 세단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또 다른 일본 자동차 브랜드인 닛산자동차는 닛산브랜드 판매량(283대)이 감소(-32.7%)했지만, 고급 브랜드 인피니티 판매량(+10.8%)은 증가했다. 전기차(리프)와 준중형 SUV(엑스트레일)이 주요 내수 공략 차종이다.

국산차 –8.5%, 수입차 –16.3%인데 일본차 +16.6%

제조사 유형별 판매량 변화율. 그래픽 = 김경진 기자.

제조사 유형별 판매량 변화율. 그래픽 = 김경진 기자.

이로써 국내 5개 일본차 브랜드 총 판매대수(3950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3387대) 대비 16.6%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내수 시장에서 전체 수입차 판매량(1만9715대)이 16.3% 감소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같은 기간 국산차 판매량 감소세와도 대비된다. 국내 5개 국산차 브랜드 총판매량(9만9897대)은 지난해 같은 기간(10만9210대) 대비 8.5% 감소했다.

오직 현대차(+8.4%)만 2018년 상반기 대비 판매량 증가했을 뿐 나머지 5개 완성차 브랜드 판매량은 모두 고꾸라졌다. 한국GM(-39.7%) 판매량이 가장 많이 감소했고, 기아차(-17.8%)·쌍용차(-9.6%)·르노삼성차(-6.2%)·제네시스(-6.1%) 판매량도 일제히 감소했다. 국산차·수입차 상대적 판매량을 고려하면, 국내 소비자가 일본차를 얼마나 선호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 보복을 요청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사진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일본에 보복을 요청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사진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과 교수는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이 일제 강제징용 사태에 대해서 판결한 이후 한·일 양국간 외교적 갈등이 점차 확대하고 있었지만, 국내 소비자는 오히려 일본 자동차를 더 많이 샀다”며 “정치적 이해관계보다는 차량의 상품성을 중심으로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국내 소비자 비율이 확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수출 제한 조치를 발동하면서 국내 소비자도 일본차 구매를 꺼릴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실제로 반일 감정이 고조하면서 이들 기업을 상대로 '불매운동'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제안한 청와대 토론게시판. [사진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제안한 청와대 토론게시판. [사진 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일본 경제 제재에 대한 정부의 보복 조치를 요청한다'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다. 3일 오전 현재 국민청원 게시글에 5000여명 이상이 청원에 동참했다. 2일 청와대 토론게시판에도 별도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제안하는 글이 올라왔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