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웨이와 전쟁' 한국 동참 요구…외교부 "협의 내용 밝힐 수 없다"

중앙일보

입력

[EPA=연합뉴스]

[EPA=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의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에 대한 거래제한 조치에 한국의 동참을 요청했다는 보도에 대해 외교부는 23일 "구체적인 협의 내용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조선일보는 미 국무부 관계자가 최근 우리 외교부 당국자에게 "당장은 아니더라도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화웨이를 전부 아웃시킬 필요가 있다"며 화웨이 제품을 사용시 보안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는 메시지를 외교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해왔다고 보도했다.

이에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미측은 5G 장비 보안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으며 우리도 이런 입장을 알고 있다"면서 "한미 양국은 동 이슈에 관해 지속 협의해오고 있다. 정부는 5G 상용화에 따른 보안 문제도 계속해서 주의를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기업의 통신장비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16일 미국 상무부는 화웨이와 68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 명단에 올렸다.

한편 한국을 향한 미국의 이 같은 요구는 '인도·태평양 전략'에 협력하는 일본과 호주 등이 반(反) 화웨이 전선에 동참하는 상황에서, 동맹인 우리 정부를 상대로 가하는 압박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섣불리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압박에 동참했다가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처럼 중국의 경제보복이 있을 수 있어 한국 정부는 일단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기업 간 거래에 대해 정부가 개입하는 데 대해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기업 중에는 LG유플러스가 5G 이동통신망 구축에 화웨이 통신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등 화웨이와 거래하고 있는 기업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