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카풀 극적 합의 서명…"출퇴근 2시간 동안만 허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사회적대타협기구 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사회적대타협기구 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택시·카풀업계의 상생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기구가 7일 출퇴근 시간에만 카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극적 합의를 이뤘다.

더불어민주당과 국토교통부, 플랫폼·택시업계 관계자들은 이날 합의문을 통해 "현행법상의 본래 취지에 맞게 출퇴근 시간 각 2시간(오전 7시~9시, 오후 6시~8시)에 허용하되 토·일요일, 공휴일은 제외한다"고 합의했다.

이날 합의에는 국민안전을 위해 초고령 운전자 개인 택시의 감차 방안을 추진할 것과 택시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근로시간에 부합하는 월급제를 시행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국회는 이같은 합의사항 이행을 위해 현재 소관 상임위원회에 계류 중이거나 발의 예정인 관련 법률안을 3월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키도록 노력하고 택시업계는 정상화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7일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과 택시·카풀 업계 대표자들이 국회 정론관에서 합의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과 택시·카풀 업계 대표자들이 국회 정론관에서 합의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자사의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앱)인 '카카오T'를 통해 올 상반기 중 카풀 베타서비스를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전현희 민주당 의원은 이날 도출된 합의 사항을 밝히면서 "대타협기구를 믿어주신 국민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 업계가 참여한 카풀 대타협기구는 지난 1월 22일 출범해 논의를 이어왔다. 당초 활동 시한은 지난달 말이었지만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마지막 회의를 열고 최종 담판에 나섰다. 결국 5시간에 걸친 진통 끝에 합의가 이뤄졌다.

카카오T 카풀 시범서비스는 지난해 12월7일 베타서비스를 시작으로 12월 17일 정식서비스를 할 예정이었으나 택시기사 분신 사망 사건으로 지난 1월 시범서비스를 중단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