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3‧1절 기념사’ 트집 잡은 日 “다양한 역사견해 무시”

중앙일보

입력

아베 신조 일본 총리.[청와대사진기자단]

아베 신조 일본 총리.[청와대사진기자단]

일본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 중에서 ‘3‧1운동’ 당시 사상자 수를 언급한 데 대해 “부적절하다”며 트집을 잡았다. 다양한 역사적 견해에도 불구하고 공식석상에서 사상자 수를 언급했다는 것이다.

일본 NHK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1일) 문 대통령이 3‧1운동 당시 사망자와 부상자 수를 언급한 것에 대해 “(한일 간) 견해가 일치하지 않은 것을 공적인 장소에서 발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한국 정부에 전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한 직접적 비판을 삼가면서 3‧1운동 당시 “7500여명의 조선인이 살해됐고, 1만6000여명이 부상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친일 잔재 청산을 강조하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일본과의 협력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문 대통령의 기념사는 일본 초계기 위협비행, 일제 강제징용에 대한 한국 대법원 판결 등에 따른 한일관계의 악화 속에서도 일본을 배려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문 대통령의 발언 중 ‘3‧1운동’ 사상자 수 언급 부분을 거론하며 사실상 항의 뜻을 한국 정부에 전달했다.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외무성은 전날 여당 자민당이 개최한 외교부회(위원회) 등의 합동회의에서도 “역사가 중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다”며 “견해가 일치되지 않은 것을 공공의 장에서 발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문 대통령의 기념사를 깎아 내렸다.

이어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은 전날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서도 ‘구(舊)한반도 출신 노동자’로 언급하며 “일본 기업에 부당한 불이익이 없도록 한국 정부가 확실히 대응하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