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 생각하는 해외 한국기업 10곳 중 3곳이 중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국·베트남 등 해외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생산비용·임금 상승, 미·중 무역분쟁 여파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는 세계 125개 코트라 무역관을 통해 1만2500여개 현지진출 법인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11월 실시한 ‘2018 해외진출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매년 실시해 온 현지법인 애로 조사에 더해 현지법인의 매출실적, 고용현황 등 경영현황 조사항목이 포함됐다. 매출실적과 고용현황에 대한 질문에는 각각 2513곳, 3502곳이 응답했다.

인건비 상승에 무역분쟁 겹쳐 #“중국서 매출 증가” 39% 그쳐

특히 우리 기업들은 중국에서 어려움을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59%)·미국(56%)·일본(51%) 등에 진출한 법인의 50% 이상이 매출액 증가를 예상했지만, 중국에서는 매출이 늘어난다고 응답한 법인이 39%에 불과했다. 매출 실적에 응답 법인 중 현지 시장환경 변화 등을 이유로 사업장의 축소·철수·이전을 고려 중이라고 응답한 법인은 171곳이었으며 이 중 중국 내 소재한 법인이 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른 국가로의 이전을 고려하는 법인은 36곳이었으며 대다수는 현재 진출지역과 인접한 국가로의 이전을 우선 고려했다. 일부(7곳)는 한국으로의 이전(유턴 기업)을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현황 조사에 응답한 현지법인(3502개사)은 단순 생산직종에 대부분 현지인력을 채용(99%)하고 있었다. 마케팅·상품개발 등 관리직종에서는 한국인 채용비중이 13%(1만2200여명)였다. 최우혁 산업부 해외투자과장은 “해외 법인 설립으로 한국 내 본사 신규인력 채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7%지만, 증가했다는 응답은 28%였다”면서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국내 고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현지법인들은 공통으로 인력 채용 등 노무(24%)나 영업(19%)과 관련된 애로사항이 많다고 호소했다. 중국·베트남은 임금 상승, 인도·독립국가연합(CIS) 등은 통관절차 관련 어려움이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전통적인 투자대상국인 중국은 임금상승·인력 채용 관련된 어려움이 컸다. 베이징은 지난해 9월 1일 기준으로 최저임금이 월 2120위안, 상하이는 2018년 4월 기준 2420위안이다. 2010년 베이징 최저임금이 960위안, 상하이 최저임금이 1120위안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최저임금 상승 폭이 두 배 이상인 셈이다. 올해 2월 기준 상하이·광둥·베이징·톈진·장쑤성·저장성의 최저임금은 월 2000위안(약 33만원)을 넘어섰다. 중국 대체시장으로 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베트남에서는 현지인의 높은 이직률에 따른 애로가 많았다. 통관절차에 따른 어려움도 중국 등 다른 국가 대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에 진출한 법인 중 일부는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 등에 대한 정보 부족을 애로로 제기하는 등 통상환경 변화로 기업이 체감하는 불확실성이 늘고 있다고 답했다.

세종=서유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