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콜라ㆍ된장 가격 상승…장바구니 구성 평균 12만2682원

중앙일보

입력

새해 첫 달 콜라ㆍ된장ㆍ카레의 가격이 올랐다. 소비자가 많이 구매하는 가공식품 30개를 살 때 드는 평균 비용은 12만2686원으로 전월보다 소폭 상승했다. 30개 가공식품 가운데 올 1월 가격이 전달보다 14개가 오르고 13개가 내렸다.

소비자원, 다소비 30개 품목 조사 #전달보다 14개 오르고 13개 내려

1월 전월 대비 오른 품목 vs 내린 품목.                      자료: 한국소비자원

1월 전월 대비 오른 품목 vs 내린 품목. 자료: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은 다소비 가공식품 30개 품목의 1월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콜라(6.0%)ㆍ된장(4.7%)ㆍ카레(1.4%) 등 14개 품목의 가격이 전월보다 올랐다고 18일 발표했다. 두 달 연속 하락했던 콜라가 1월 들어 다시 오름세를 탔다. 된장 가격은 10월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조사대상 30개 품목 중 주요 상승 품목은, 조미료에선 설탕(11.0%)ㆍ된장(9.8%)이, 음료 중 콜라(9.7%)ㆍ생수(6.8%), 곡물 가공품 중 즉석밥(5.6%)ㆍ컵라면(3.4%) 등의 상승 폭이 높았다. 대신 오렌지 주스(-4.5%)ㆍ햄(-2.7%)ㆍ국수(-2.4%) 등 13개 품목의 가격은 내렸다.

자료: 한국소비자원

자료: 한국소비자원

많이 소비하는 품목 30개를 사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은 12만2686원으로 전월보다 0.2% 상승했다. 채널별로는 대형마트에서 사는 것이 11만3529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전통 시장에서는 11만9529원이 필요해 평균보다는 쌌지만, 대형마트보다는 비쌌다. 백화점은 13만4884원으로 가장 가격이 높았다.

채널별 다소비 30개 품목을 사는데 드는 비용.                       자료: 한국소비자원

채널별 다소비 30개 품목을 사는데 드는 비용. 자료: 한국소비자원

판매 채널마다 가격 경쟁력이 있는 품목이 달랐다. 두부ㆍ시리얼은 전통시장, 국수ㆍ식용유는 대형마트가 가장 저렴했다. 콜라ㆍ생수는 기업형 슈퍼마켓(SSM), 어묵은 백화점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만날 수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맞춤형 생필품 가격정보를 주간 단위로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원은 동일한 제품이라도 판매점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큰 만큼 소비자는 생필품 구입에 앞서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www.price.go.kr)’ 등에서 판매가격, 할인정보 등을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전영선 기자 az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