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ㆍ미, 스톡홀름 회담서 북한에 ‘동창리 미사일실험장 폐기’ 재확인시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달 중순 스웨덴 스톡홀름에 열렸던 남ㆍ북ㆍ미 회동에서 한·미가 북한에 동창리 미사일시험장의 폐기 약속을 재확인시켰다고 외교 소식통이 28일 전했다.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와 최선희 외무상 부상,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부터 2박3일 동안 스톡홀름 인근의 컨퍼런스홀에서 합숙 회담을 했다.

"9.19 등서 언급된 비핵화 조치 리스트 교환" #2월 말 북미 정상회담 위해 내주 협상 재개할듯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왼쪽부터),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연합뉴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왼쪽부터),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연합뉴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남·북·미는 스톡홀름 회담에서 6·12 싱가포르 북미회담과 9·19 남북 평양선언 등에서 남북, 북·미 정상들이 약속한 ‘해야 할 목록(To do list)’을 교환했다고 한다. 여기에는 북한의 동창리 미사일 엔진시험장 및 발사시험대 폐기와 국제참관 허용, 미국의 ‘상응조치 제공 때’ 영변 핵시설 폐기 등이 포함됐다. 이들 조치는 문재인 대통령이 9·19 선언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으며 올해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재차 언급했던 내용이다. 소식통은 “지난해 침묵으로 일관했던 북한이 합의 사항을 진전시킬 의지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비건·이도훈·최선희 3인은 "빠른 시일 내로 추가 협상을 한다"는 점도 합의했다고 한다.
스톡홀름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진전 의사는 확인했지만, 북·미 정상회담 시한이 2월 말로 정해진 상황에서 새로운 내용의 ‘빅 딜’이 나오기는 어렵지 않느냐는 게 외교가의 분위기다. 한·미가 목표로 하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추가 로드맵을 논의하기에는 물리적으로 4주 남짓의 시간밖에 없기 때문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안보보좌관(NSC)이 동시에 북한의 구체적 비핵화 조치를 요구한 것도 이같은 기류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강 장관은 다보스 포럼 참석 기간인 24일(현지시간) “북한이 영변 핵 시설 해체와 국제기구 참관 등을 허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귀국길에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의 목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볼턴 보좌관도 비슷한 시기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는 전략적 결단이 내려졌다는 신호가 있은 이후에 제재 해제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보스포럼 마치고 귀국한 강경화 장관   (영종도=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6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9.1.26   ryousanta@yna.co.kr/2019-01-26 16:38:47/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다보스포럼 마치고 귀국한 강경화 장관 (영종도=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6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9.1.26 ryousanta@yna.co.kr/2019-01-26 16:38:47/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의제 조율을 위한 추가 실무 협상은 시간표상 이르면 내주 초에는 이뤄져야 한다. 지난해 6·12 북ㆍ미 정상회담의 최 부상과 성 김 주필리핀 미 대사의 실무 의제 조율은 불과 2, 3주 전에 시작됐다. 당시 최 부상이 펜스 부통령에게 "아둔한 얼뜨기"라고 비난해 트럼프 대통령이 5월 24일 회담을 전격 취소했다가 사흘 후 재개된 탓이다. 성 김과 최선희는 판문점 등에서 6차례에 걸쳐 만나며 정상회담 의제를 ‘급속 조율’했다. 이번에도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외교 소식통은 “조만간 이뤄질 북ㆍ미 실무협상에서 누가, 어떤 세부안을 들고나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소 안보통일센터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날짜를 못 박지 않은 것도 지난해의 교훈 때문"이라며 "내주 이뤄질 실무협상에서 북측이 들고나오는 내용에 따라 정상회담이 3월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