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씨 「1회 공개증언」 의견접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 14인 중진회의는 14일 오전 4차 회의를 열어 두 번째 의제인 5공 청산문제를 논의, 전두환 전대통령의 공개 국회증언에 의견접근을 보였으나 야당 측이 증언에 앞서 5공 핵심인사처리문제를 먼저 매듭지을 것을 요구, 최종결론에는 이르지 못했다. <관계기사 3면> 이날 회의에서 민정당 측은 ▲전·최 두 전직 대통령의 국회증언을 1회·공개로 하고 ▲이 증언 후 특위를 종결짓고 ▲광주보상법을 이번 국회에서 처리하며 ▲5공 핵심인사들은 특위에서 고발하는 것으로 매듭지을 것을 제의했다.
민정당 측은 전씨 증언을 TV로 직접 중계하는 데는 반대했으나 보도진에 공개하고 녹화방영 하는 것은 양해했다.
민정당 측은 또 광주문제에 있어 정부차원의 공식사과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야당 측은 전·최씨의 1회·공개국회증언에 대해서는 수용할 의사를 비쳤다.
그러나 증언이후 핵심인사 처리문제에 있어 평민·민주당 측은 ▲정호용·이희성·소준열씨(이상 광주관련), 이원조·안무혁·장세동씨(이상 5공 비리관련)등 6명중 공직자는 공직 사퇴가 있어야 하며 ▲국회차원에서 고발, 사법처리 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절충이 이뤄지지 않았다.
야당일각에서는 전씨 증언의 내용에 따라서는 부분적인 당직사퇴·국회고발로 매듭짓자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어 절충결과가 주목된다.
여야는 중진회의에서 증언문제와 핵심인사처리가 매듭지어지지 않으면 이달 말 영수회담을 열어 최종 타결키로 했다.
영수회담의 형식은 중진회의 진행상황을 보아 처리하되 김영삼 민주당 총재가 6월초 소련방문을 위해 출국하기 때문에 김 총재부터 시작, 연쇄 개별회담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크다. 전씨 증언문제가 타결되면 증언은 7월 국회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중진회의는 18일 오후 회의에서 공안 합수부를 조기 해체키로 합의, 주요현안 5개항 의제를 일괄 타결했다.
이에 따라 공안 합수부는 현재 진행중인 사건을 조속히 마무리짓고 6월중에 해체하며, 다른 공안사건에 대해서는 검찰과 관계기관의 수사공조기구를 두어 다루는 것을 야당 측이 양해했다.
또 파괴활동 방지법은 이번 국회 회기 중에 처리키 위해 내무위에서 절충하고 최루탄사용규제는 경찰관 직무 집행법에 반영키로 했으며 국회가 채택할 반 폭력 결의는 운영위에서 문안을 만들기로 각각 합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