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靑 "한반도 평화 전환점 기대"…장소 미발표에는 신중한 입장

중앙일보

입력

제2차 북ㆍ미 정상회담이 ‘2월말쯤’으로 발표된 데 대해 청와대는 환영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왼쪽)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단독회담을 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왼쪽)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단독회담을 했다. 연합뉴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서면 브리핑에서 “북ㆍ미 양측이 2월 말 2차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한 것을 환영한다”며 “이번 북ㆍ미 정상회담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확고히 다질 수 있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정부는 북ㆍ미 정상회담을 통해 지난해 남ㆍ북ㆍ미 세 정상이 합의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ㆍ미 간 긴밀한 공조를 토대로 관련국들과 협력할 것”이라며 “미국과의 공조와 더불어 남북 간의 대화도 확대해 가면서 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모든 역할을 다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에선 긍정적 평가가 많았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구체적 논의까지 나아가지 못했던 지난해 1차 북ㆍ미 정상회담과 달리 이번 회담을 앞두고는 비핵화 진전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오갔다”라며 “회담 일정이 구체화된 것만으로도 충분히 긍정적 해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왼쪽)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듀폰서클 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북미고위급 회담을 위해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왼쪽)이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듀폰서클 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북미고위급 회담을 위해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당초 베트남 다낭이나 하노이 등 구체적 장소가 거론된 이후에도 회담 장소가 특정되지 않은 데 대해서는 신중한 반응도 나왔다. 한 관계자는 “북ㆍ미간 이견이 있었다기보다는 양 정상의 동선에 따른 보안 문제 등이 감안됐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장소 등에 대해서도 미국과 북한이 합의를 통해 별도의 방법으로 발표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한국이 당사국이 아니기 때문에 공동 발표 등은 어렵겠지만, 미국과 큰 시차를 두지 않고 입장을 밝힐 기회가 있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와관련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최선희 부상(차관)이 곧 스톡홀름에서 회동할 것으로 보여 북·미 정상회담 실무협상을 시작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최 부상과 접촉하기 위해 스웨덴 스톡홀름으로 출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19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답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19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답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청와대는 북ㆍ미 정상회담 다음 수순으로 예정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한국 답방에 대해서는 “북ㆍ미 정상회담 전에는 답방에 대해 일절 논의하지 않을 것이고 구상조차 않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8일 오찬에서 강경화 외교장관과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 오찬과 관련 “통상적인 소통에 방점을 둔 오찬일 뿐 김정은 답방에 대한 정보교류나 답방 시 국내 경호나 보안 문제 등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산책하고 있다. 연합뉴스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산책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해 9월 평양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조속한 답방’에 합의했던 이유는 11월 이전으로 기대했던 2차 북ㆍ미 회담의 성사를 전제로 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ㆍ미 협상이 그동안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한때 대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는 서울 답방도 논의됐지만 북ㆍ미 정상회담 성사로 이러한 성격의 답방은 불필요해졌다”며 “북ㆍ미 회담 결과에 따라 서울 답방의 시기와 성격도 정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