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정주, 최소 8조원 넥슨 통째로 내놔…손정의 영향 받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던전앤파이터

던전앤파이터

국내 최대 게임회사인 넥슨 창업자 김정주(51) NXC 대표가 회사를 통째로 판다. 매각이 성사되면 거래 가격은 최소 8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인수 후보로는 중국 텐센트와 미국 디즈니 등이 거론된다.

지주사 NXC 지분 전량 매물로 #게임업 저성장하자 흥미 잃어 #손정의도 게임사 지분 잇단 정리 #진경준 사건에 시달린 것도 한몫 #텐센트·디즈니 인수 후보로 거론

3일 투자은행(IB)업계와 게임업계 등에 따르면 김 대표는 자신과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넥슨 지주회사 NXC의 지분 전량(98.64%)을 매물로 내놨다. 김 대표(67.49%)와 부인 유정현 NXC 감사(29.43%), 김 대표 개인회사인 와이즈키즈(1.72%)가 보유한 지분이다. 매각 주간사로는 도이치증권과 모건스탠리가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의 지분 매각 방침은 국내 게임업계에 큰 충격이다. 예상 매각 금액도 그렇지만, 김 대표와 넥슨이 갖는 상징성이 커서다. 그는 국내 게임업계의 선구자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학사, KAIST 전산학과 석·박사 출신인 그는 1994년 박사 과정 재학 중 게임업체 넥슨을 창업했다.

김정주

김정주

넥슨그룹은 ‘김 대표→NXC→넥슨(일본법인)→넥슨코리아→10여 개 계열사’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NXC의 지분을 매각하면 주력인 넥슨코리아의 주인도 바뀐다. 2011년 일본 증시에 상장한 넥슨의 시가총액은 13조원이 넘는다. 이 중 NXC가 보유한 지분(47.98%) 가치만 6조원 이상이다.

하지만 넥슨 내부에선 김 대표의 결정을 ‘예정된 수순’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김 대표가 이미 5~6년 전부터 국내 게임업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실제 2013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소프트뱅크벤처스 포럼 2013’에 30여 분간 연사로 나섰던 그는 “가산디지털단지에 가면 한 건물에 수백 개의 게임 개발사가 몰려 있을 정도로 게임업계 편중 현상이 눈에 띄는데, 혁신적인 서비스가 나왔으면 좋겠다. 내가 좋은 역할 모델을 보여주지 못해서인지 모두들 게임밖에 안 만드는 것 같다”며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평소 친분이 두터운 손정의(62)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잇따라 게임회사 관련 지분을 정리한 것에 영향을 받았다는 시각도 있다. 일본 소프트뱅크는 2016년 당시 인기 게임인 ‘클래시 오브 클랜’과 ‘클래시 로얄’의 개발사인 슈퍼셀의 지분(73.2%)을 텐센트에 매각했다. 당시 텐센트는 이를 포함해 슈퍼셀 지분 84.3%를 86억 달러(당시 환율 기준 약 9조9115억원)에 사들였다. 김 대표는 2013년 당시 “1년에 두세 번씩 만나며 여러 가르침을 배우고 있다”며 손 회장과의 인연을 소개한 바 있다. 그는 또 “손 회장이 ‘여전히 두려움이 커서 제대로 투자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해 깜짝 놀랐다”며 “통 크게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한 손 회장이 이같이 말한 것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고 소회를 밝혔었다.

여기에 최근 저성장 국면을 맞은 국내 게임업계의 현실을 김 대표가 무척이나 ‘지루해 했다’는 게 업계의 평이다.

김 대표는 1년에 한두 번 경기도 판교의 넥슨코리아 사옥에 들른다. 사옥엔 자신의 사무실도 없다. 최근 실적이 좋다고는 하지만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서 넥슨의 대표작은 출시한 지 10년이 넘는 ‘던전앤파이터’와 ‘피파온라인’ 등이 차지하는 형편이다. 새로운 일을 벌이기 좋아하는 김 대표 입장에서는 사업이 정체 상태인 셈이다.

넥슨 관계자는 “2014년 3월 박지원 넥슨코리아 전 대표가 36세의 나이로 대표이사 자리에 오를 당시 이미 박 대표에게 한국 운영 전권을 맡긴 것”이라며 “이때부터는 거의 한국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신 그는 오웬 마호니 넥슨 대표와 NXC나 넥슨 전반의 경영과 글로벌 상황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는다. 마호니 대표는 글로벌 1위 게임업체인 일렉트로닉아츠(EA)의 수석부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소위 ‘넥슨 주식 사건’으로 2년여 간 이어진 수사와 재판도 김 대표가 한국에 ‘정을 떼는 데’ 한몫했다는 분석도 있다. 진경준(52) 전 검사장에게 뇌물을 준 혐의 등으로 기소된 김 대표는 지난해 5월 무죄판결을 받았다. 김 대표의 한 측근은 “(김 대표가) 결국 무죄로 밝혀진 사건에 대해 2년간 시달린 데 대해 힘들어 했다”고 전했다.

매각이 성사되면 손에 쥘 초유의 매각대금으로 김 대표가 어떤 일을 벌일 것인가에도 관심이 쏠린다. 또 다른 스타트업을 시작하거나 암호화폐 쪽 사업을 할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대표는 소규모 인원으로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걸 즐긴다. 김 대표는 “4~5명 단위의 소규모 팀을 짜 제주와 뉴욕, 샌프란시스코를 오가며 일하고 있다”며 “넥슨 창업 당시에도 5명 남짓이 함께 일할 때가 가장 즐거웠다”고 입버릇처럼 말해 왔다. 구체적으로 그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에서 ‘똘똘한’ 스타트업 대표들을 만나 밥을 산다는 소문은 이미 2016년께부터 나왔다. NXC는 2017년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빗’을 인수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에는 유럽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스탬프’를 인수했다.

넥슨이 해외 기업에 통째로 팔리면 국내 게임업계에 미칠 영향도 클 전망이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대학 교수는 “한국·일본 게임시장 거점이 필요한 텐센트에 넥슨이 넘어가면 중국산 모바일 게임이 한국 시장에 대량 유통될 수 있다”며 “개발 쪽보단 배급에 주력하는 회사로 전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정훈 KB증권 연구원은 “텐센트가 인수한다 해도 중국 시장에서 단기간 내에 큰 시너지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NXC 측은 김 대표의 지분 매각설과 관련, “매각 관련 사실여부에 대해서는 확인 중”이라며 “게임 규제 때문에 NXC의 지분 매각을 검토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김 대표는 평소 규제 피로감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NXC 매각설이 알려지면서 넥슨 관련주는 하루 종일 강세를 보였다. 넥슨코리아가 지분을 갖고 있는 넥슨지티와 넷게임즈가 상한가까지 치솟았다. 넥슨지티는 이날 주당 1910원(29.98%)이, 넷게임즈는 2210원(29.99%)이 각각 올랐다.

이수기·박민제·하선영 기자 retali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