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1인당 국민총소득 146만원, 한국의 4.3%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146만원(북한) vs. 3363만원(남한).

2018 북한 주요통계지표 #무역액 55억 달러 … 전년보다 줄어 #석탄·철광석 생산, 남한 10배 넘어

지난해 남북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다. 북한은 2016년(146만원) 수준을 유지했지만 남한은 같은 기간 1인당 GNI가 3212만원에서 3363만원으로 늘어 남북 격차가 더 벌어졌다. 경제성장률이나 무역 총액 등 주요 통계 지표 대부분이 마찬가지다. 통계청이 19일 발간한 ‘2018 북한의 주요통계지표’에서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 GNI는 36조 6310억원으로 남한(1730조4614억원)의 4.5% 규모다. 북한 인구는 2501만 명으로 남한(5145만 명)의 절반이다. 북한 주민 1인당 GNI를 계산하면 146만원으로 남한(3363만원)의 23분의 1 수준이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016년 3.9% 증가해 8년 만에 남한을 웃돌았던 북한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마이너스(-3.5%)로 돌아섰다. 1997년(-6.5%) 이후 20년 만에 가장 많이 떨어졌다. 남한은 지난해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김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16년 만의 최악의 가뭄, 미국의 강력한 대북 경제제재로 인해 지난해 북·중 무역이 감소하면서 남북간 경제 격차가 더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무역 총액은 북한이 55억5000만 달러로 남한(1조521억7300만 달러)의 5.2% 수준이었다. 북한은 전년(65억3200만 달러)대비 감소한 반면 남한은 같은 기간 9016억1900만 달러→1조521억7300만 달러로 늘면서 격차가 벌어졌다. 주요 무역 국가도 북한은 중국이 수출 93%, 수입의 95%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에 편중된 반면, 한국은 중국 비중이 수출 24%, 수입 20%였다.

북한이 남한보다 앞선 것은 식량작물·지하자원 생산이었다. 북한은 지난해 식량작물 470만t을 생산해 남한(447만t)보다 많았다 쌀 생산량은 북한(219만t)이 남한(397만t)의 절반 수준이지만 구황작물인 옥수수 생산량이 167만t으로 남한(7만t)보다 많았다. 북한 석탄 생산량은 2166만t으로 남한(149만t)보다 14배, 철광석 생산량은 574만t으로 남한(31만t)의 18배 수준이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