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개 직할시장 직선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와 민정당은 중평연기이후의 여-야 대화무드를 지속키 위해 쟁점이 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직선시기들 앞당기고 그 대상도 늘릴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의 한 고위관계자는 21일『여야 대 타협을 통해 중평연기라는 합의가 이루어진 만큼 이러한 대화분위기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 하에 자치단체장 직선에 대한 야당 측의 요구를 고려, 이의 범위확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도 보다는 재정자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직할시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그 실시대상도 당초의 1∼2개시·도에서 3∼4곳으로 늘릴 것을 연구중인데 서울특별시의 포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실시시기에 대해『지방의회와 함께 연내에 동시에 실시하는 것은 여러 가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며『빠르면 내년 상반기 중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계자는『지역감정이 심화된 우리의 정치·사회적 상황에서 1∼2곳만을 선정하는데는 무리가 있다』며『대상범위확대는 이런 점도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은『정부측은 야3당이 마련한 지자제 법에 대한 거부권행사방침을 통고했고 이는 아직도 유효하다』며『지자제협상을 새로 시작한다는 입장에서 정부·여당은 폭넓은 타협의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민정당의 이종찬 사무총장은 중앙당사에서 열린 월례조회에서『지자제선거에서의 우리당의 득표가 간접적으로 우리 당에 대한 평가로 볼 수 있다』고 말해 지자제선거로 중평을 대체할 것을 시사했다.
이 총장은『현재 여권 내에서는 지자제와 중평의 연계가 설득력 있게 검토되고 있다』고 말하고『지자제선거가 중평 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면 여타 다른 방식의 중간평가는 필요치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