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보는 양극의 목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멀게만 느껴져 왔던 북한과 공산권이 우리에게 가깝게 다가서는 요즈음 일반국민들 사이에 새삼스런 의문점이 생겨났다.
「미국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12일 오전2시가 넘어서까지 중앙일보 편집국에는 KBS1TV가 방영한 심야토론 「미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시청한 시민들의 「양극의 목소리」가 쇄도했다.
우리의 대미관이 표류하고 있음을 피부로 느낄 수밖에 없었던 그 양극의 소리.
『저 사람들이 공산당을 제대로 겪지 못해 저런 소리를 하는 겁니다. 주한미군은 꼭 있어야 됩니다.』
『광주학살을 방조하고 독재정권을 지원한 나라가 도대체 어디입니까.』
제각기 다른 의식수준과 체험을 지닌 시민들의 목소리는 『미국은 셔먼호사건이래 우리에겐 백해무익한 악한 나라』라는 한 토론 참가자의 주장과 『미국은 민주주의라는 세계사적 사명을 실현하는 착한 나라』라는 반박 사이에서 확실한 설자리를 못찾고 있었다.
얼마전 서울대의 한 조사에서는 대학생들까지 50·6%가 「미국은 친구도 적도 아니다」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고 「미국이 우리민족을 일제식민지로부터 해방시켰고 자유민주체제를 수호하는 맹방」이라는 인식까지 없지 않았는데 성인들의 극단론이 안타깝게 느껴진다는 반응이 더 많았다. 그같은 분위기를 탄듯 최근엔 남북회담에서 북한이 팀스피리트 훈련 증지를 요구하는 주장까지 들고나섰고 우리사회 일각에서 동조기미까지 일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큰 부분은 북한 등 공산권과의 성급한 접촉을 우려하고 공산주의의 궁극적 목표에 불안해하는 더 많은 시민들의 목소리가 존재하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동전의 양면을 보는 지혜와 국제관계를 감정이 아닌 냉철한 이성에 따라 조절하는 자기제어의 능력이 무엇보다 아쉬운 때인 것 같다.<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