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정국」마무리 협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여-야는 30일 오후 국회에서 4당 총무접촉을 갖는 등 특위정국 마무리를 위한 본격 협상에 착수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5공 청산작업에 대한 여-야간 평가가 엇갈리고 종결방안도 서로 틀려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이며 이 달 중순 여-야 영수회담 등을 거쳐 매듭지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총무접촉에서 광주특위 종결방안에 대해 민정당 측은▲청문회는 더 이상 열지 않고▲전두환·최규하 전대통령의 증언은 당사자들의 성명서로 대신하며▲소위를 구성, 광주보상특별법을 임시국회 전까지 제정하는 것-으로 끝내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야 3당은▲최·전씨 증언청취는 필수적이며▲청문회를 2회쯤 더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공 특위에 대해선 민정당 측이『검찰수사로 충분하므로 특검제는 절대 반대하며 삼청교육. 해직공직자 등의 보상문제 협상으로 종결짓자』고 주장하는. 반면 야 3당은『검찰수사론 미흡한 만큼 특검제를 도입보다 철저하고 공정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맞섰다.
전·최씨 증언문제는 야3당이 방문신문 등 간접증언방식에 다소 신축성을 보이고 민정당 측도『당사자들이 받아들인다면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구체적인 방법이 조정된다면 극적 타결될 가능성도 있다.
총무접촉에선 또 광주·일해·언론청문회의 위증자 처리문제도 논의, 가능하면 빠른 시일 내 고발 등 법적 처리를 진행시킨다는 방침에 의견을 같이 했으나 위증 고발대상자에 대해선 상당한 이견을 보였다.
민정당 측은 광주특위에서 야당의 정호용씨 고발 주장에 반대하고 있으나 언론청문회의 허문도씨 등 일부인사에 대해선 야3당의고발방침을 묵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민정당 측은 자신들의 특위종결방안에 야당 측이 반대할 경우『광주백서』와『5공백서』를 발간, 일방적으로 특위종결을 선언한다는 방침이며 이를 중간평가와 연계시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