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대장균 검출 한라산 소주 "부적합 소주 유통 안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라산 소주

한라산 소주

제주에서 소주를 생산·유통하는 주식회사 한라산이 식약처의 수질 검사에서 적합판정을 받은 지하수로만 소주를 생산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8월 신공장 건설 관련 생산이 중단된 시기에 총대장균군과 pH 농도 기준 2가지 항목에 대한 부적합 결과가 일시적으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에 따르면 윤성택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이 같은 부적합 결과 원인에 대해 기존 공장의 생산 중단으로 인해 지하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세균이 일시적으로 번식해 수질이 오염됐을 가능성이 큰 시점이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27일 식약처 절차에 따라 지하수를 재취수해 재검사를 받고 같은 달 28일 적합판정을 받았다.

한라산 소주 지하수 적합 판정 문서 [연합뉴스]

한라산 소주 지하수 적합 판정 문서 [연합뉴스]

주식회사 한라산은 “부적합 판정을 받은 날로부터 적합판정을 받은 3일간 단 한병의 소주도 생산·유통하지 않았으며 관련 기관의 조치상황들은 두 달 전 이미 종결돼 현재 정상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보포털식품안전나라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난 11일 자로 제주시 한림읍 한라산 본사 생산공장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 수질이 부적합해 시설개수 명령을 내렸다고 공지했다.

[홈페이지 캡처]

[홈페이지 캡처]

산성과 알칼리성 정도를 나타내는 pH(수소이온) 농도가 문제 됐다. 한라산이 사용하는 지하수의 pH 농도는 8.7로 적합 기준(5.8~8.5)을 벗어났다. pH 농도는 낮을수록 산성이며, 높으면 알칼리성이다.

총대장균도 일부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장균군은 사람이나 동물의 장 속에 사는 대장균과 그와 비슷한 균을 통틀며, 검출된 경우 사람이나 가축 배설물에 의해 오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