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피플 <1> '못 말리는 축구광' 시각장애 하현욱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2002 월드컵 당시 박지성(21번)의 유니폼을 입은 하현욱씨가 대한축구협회 응원 머플러를 펼쳐들고 활짝 웃고 있다.

"정경호가 박주영에게 크로스를 날려주는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어요. 박주영도 욕심 부리지 않고 김두현에게 패스를 내준 게 골로 연결됐죠. 수비가 너무 느리고 조직력이 떨어지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 축구 해설가의 말이 아니다. 20cm 앞에서야 겨우 사물의 윤곽을 식별해 내는 시각장애인의 한국-세네갈전(23일) 경기 분석이다.

서울의 한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하현욱(26)씨는 1급 시각장애인이다. 축구를 지독히 좋아하는 그는 TV.라디오 중계나 인터넷 서핑(문장을 읽어주는 기계가 있다)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큰 경기가 있을 때는 항상 경기장을 찾는다. 그는 라디오를 들으며 50배율이 넘는 고성능 망원경으로 공과 공 주위 선수들의 움직임을 본다. 선수 개개인을 식별해 낼 수는 없고, 유니폼 색깔로 두 팀을 구분한다.

그는 2002 한.일 월드컵 당시 부산(한국-폴란드), 인천(한국-포르투갈), 광주(한국-스페인 8강전) 경기를 현장에서 봤다. 돈도 많이 들었고, 다니던 안마시술소도 한 달간 그만둬야 했다.

그는 월드컵 첫 승의 감격을 지금도 생생히 기억한다. "황선홍 선수의 첫 골이 들어갔을 때, 머릿속이 텅 비어 버리는 것 같았어요."

가족 중에 시각장애인은 하씨뿐이다. 그는 태어날 때부터 백내장으로 앞을 보지 못했다. 그나마 일곱 살 때 수술을 해 지금의 시력을 갖게 됐다. 부산맹학교에 다니면서 틈만 나면 약시(弱視) 친구들과 어울려 축구를 했다. 중등부 시절, 고등부 선배들이 안마를 가르쳐 줬다. 정성껏 안마를 하면 용돈을 주는 형들이 있었다. 하씨는 그 돈으로 축구 입장권을 사 구덕운동장을 찾았다. 대우 로얄즈의 전성기였던 1993년엔 대우의 홈경기를 하나도 빠지지 않고 봤다.

하씨가 축구장을 찾는 이유는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분위기와 감동' 때문이다. "서포터스와 하나가 돼 응원하고, 고함을 지르면서 경기에 몰입하는 겁니다." 그는 야구장에선 장내 중계를 라디오로 들을 수 있는 시스템이 돼 있는데, 축구장엔 없어 아쉽다고 했다.

인천에 사는 하씨는 전철을 세 번 갈아타고 출퇴근한다. 새벽에 열리는 유럽 리그 경기를 보고 나면 출근하기가 쉽지 않지만 그래도 수입이 더 많은 밤 근무 대신 낮 근무를 택했다. 해외여행은커녕 국내선 비행기 한 번 타 본 적이 없는 하씨는 독일 월드컵만은 꼭 가고 싶었다. 그러나 경비 마련도 쉽지 않고, 혼자 갈 엄두도 안 나 포기했다.

최근 국제축구연맹(FIFA)이 시각장애인에게 월드컵 티켓 640장(한 경기에 10장씩)을 배분했다. 하씨는 "그런 뉴스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 물론 한국에는 표가 배당되지 않았다. 그는 "대한축구협회도 A매치 때 시각장애인에 대한 배려를 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각장애가 없었다면 틀림없이 축구선수를 했을 겁니다. 그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대신 축구단을 하나 만들고 싶습니다. 선수들의 뭉친 근육도 안마로 풀어주고, 선수들의 마음도 풀어줄 수 있는 구단주가 될 겁니다."

글.사진=정영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