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도 우리 국민" 항의에도…조명균, 재발방지 약속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제한 조치와 관련한 해명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제한 조치와 관련한 해명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통일부의 탈북민 출신 기자 취재 배제 논란에 대해 조명균 장관이 삼청동 남북회담본부 기자실에서 유감을 표명했다. 조 장관은 "대변인 통해 이미 설명했지만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아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장관은 "오늘 북한과 다섯번째 고위급회담을 한 수석대표로서, 평양공동선언 이행방안을 처음 논의하는 중요한 회담이었다"며 전체적으로 지금 시점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점에서 김 기자(김명성 조선일보 기자)님이 직접 현장에 가는 것은 어렵겠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앞서 통일부는 이날 고위급 회담 대표단이 서울에서 출발하기 1시간 전, 기자단에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가 제5차 고위급 회담을 풀(pool) 취재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밤새 고민한 결과"라며 "출발 직전에 통보한 것에 대해서는 유감"이라고 말했다.

'김 기자가 가면 (회담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나'라는 질문에 조 장관은 "그렇게 판단했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앞서 통일부가 발표했듯 북한에서 김 기자의 배제 요청은 없었다고 거듭 밝혔다.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제한 조치 해명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세례를 받고 있다. 오른쪽은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뉴스1]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제한 조치 해명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세례를 받고 있다. 오른쪽은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뉴스1]

기자들이 '북한이 요구하지 않았다면 더 문제다. 탈북민도 우리 국민인데 국가가 불리할 경우 언제든 기자의 취재를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하나'라고 질문하자 "탈북민에 대한 차별 측면에서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아까 말씀드렸듯 판문점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풀단으로 기자들이 들어왔을 때 상당히 제한된 인원이 조우하는 상황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최종 판단 주체는 조 장관 자신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조 장관은 "유관부서와 상의는 했지만, 전적으로 최종 판단은 제가 내리고 대변인 통해서 그런 조처를 했다"고 말했다. 앞서 통일부 대변인은 해당 논란에 대해 "결정 주체를 말씀드리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유감'은 표명했지만, 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그때 당시 시점 상황 등을 보고 역시 고민해야겠지만 거의 오늘 같은 상황이라면 같은 판단 내릴 가능성 있지 않을까"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물론 사전에 좀 더 기자단과 절차적으로 협의하는 부분들은 미흡한 부분들은 보완해나갈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직업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 아니냐는 항의에도 "상황이 좀 다르다. 남북 고위급 회담 장소에서는 남북 펜기자가 양쪽에 두세분 들어가서 사전에 대화도 하게 되고 그런 상황에서 김 기자님 같은 경우는 블로그·언론활동 등으로 북측에 알려져 있는 상황이고 그런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사항을 우려해서 나름 관계기관과 협의를 했다"고 밝혔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