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앙일보 국민의식조사] 한·미관계 어떻게 보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우리 국민은 안보에 대해선 미국의 전통적인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정서면에서는 미국과 멀어지고 북한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 여론조사팀이 본지 창간 38주년과 한.미 동맹 50주년을 맞아 지난 15~17일 전국 성인 1천명과 7백10명을 대상으로 두차례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한.미관계가 국익에 중요하다'는 의견이 93.1%로 '중요치 않다는 의견'(6.8%)을 압도했다.

'동맹이 한반도 평화유지 및 전쟁억지에 기여했다'가 81.7%로 '기여 못했다'(17.9%)를 압도했고, 동맹의 미래에 대해서도 '현 수준을 유지 또는 강화해야 한다'가 73.2%로 '(규모를) 줄여야 한다'(26.2%)보다 높았다. 설문은 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와 공동 구성했다.

한.미 동맹은 동맹의 견고성에서도 미.일 동맹(19.2%), 북.중 관계(20.6%), 북.러 관계(6.9%)를 모두 능가하는 39.4%의 지지율을 얻었다. 그러나 통일 이후에도 한.미 동맹을 유지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없다'(28.7%)가 '있다'(33.3%)에 근접한 양상을 보였다.

또 주한미군에 대해 '한국의 안보 유지에 중요하다'가 87.4%인 반면 '중요하지 않다'는 12.5%에 불과했다. 향후 주둔 필요성에 대해서도 82.8%가 '필요 있다'고 대답했다.

이는 각각 49%와 59.8%가 주둔 필요성을 인정한 지난해 말과 지난 6월 본지 여론 조사 결과보다 크게 높아진 수치다.

주둔 기간에 대해서는 '상당기간 주둔'이 6월의 31.2%에서 62.9%로 높아졌고 '조만간(2~3년 내) 철수해야'란 의견은 22.4%로 6월의 38.1%보다 줄어들었다. 주둔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북한의 도발.남침 억제'가 55.4%로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미국에 대한 정서는 변화 양상이 뚜렷했다. 미국은 '가장 좋아하는 나라'1위(18.5%)에 올랐지만 '가장 싫어하는 나라 순위'에서도 1위 일본(25.6%)에 근접한 2위(23.7%)를 차지했다. 북한은 '싫어하는 나라' 3위(12.7%)에 랭크됐다.

또 '가장 위협적으로 생각되는 나라' 순위에서도 미국은 북한(45%)에 이어 일본(14.8%)보다 높은 2위(26.1%)에 올랐다. 미국에 대한 국민의 일반적인 생각은 '호의적'이 50.1%, '비판적'이 49.5%로 나타나 지난 6월과 흡사한 양상을 보였다. 당시 미국이 '나쁘다'는 27.6%, '좋다'는 25.4%였으며 '중간'은 46.9%였다.

반미 감정과 관련해 현 한.미 관계 상황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나쁜 편'이 66.4%로 '좋은 편'(32.5%)의 두배를 넘었다. 또 반미 감정이 '젊은층 바깥으로 확산됐거나 확산 중'(55.2%)이란 답변이 '젊은 세대까지로 국한'이란 답변(43.9%)보다 많았다.

반미 감정의 원인으론 '미국의 일방적 행동'(58%), '주한미군 주둔 및 군사 외교적 간섭'(14.3%), '한국인들에 대한 무시 등'(13.5%) 순으로 나타났다. '대북 강경책'은 4.5%였다.

반면 북한에 대한 인식은 '공조의 대상인 동족'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이 3년 이내에 남한을 전면 공격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없다'가 63.5%로 나와 북한의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미 동맹과 민족 공조의 비중은 '공조 우선'(39.4%)이 '동맹 우선'(24.4%)보다 높아 '동맹 강화'가 32%로 '미국 탈피 자주외교'(17.6%)를 눌렀던 6월 조사를 뒤집은 양상을 보였다.

북한은 한.미 동맹 약화시 한국이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야 할 나라'에 중국(49.8%) 다음인 2위(20%)에 오르기도 했다.

한.미 동맹의 주요 현안인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안다'가 34.4%인 반면 '모른다'가 65.8%에 달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미 2사단의 한강 이남 재배치 및 기지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찬성(47.2%)과 반대(48%)가 팽팽히 맞섰다. 이번 조사의 최대 허용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와 ±3.7%포인트다.

안부근 조사전문위원, 정리=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