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월 만에 돌아선 소비 심리···文정부 출범 후 최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강남구 코엑스 '중장년 전문인력 채용박람회'를 찾은 중장년들이 취업 상담과 면접을 보기 위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김동호 기자

서울 강남구 코엑스 '중장년 전문인력 채용박람회'를 찾은 중장년들이 취업 상담과 면접을 보기 위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김동호 기자

 얼어붙었던 소비심리가 17개월 만에 비관적으로 돌아섰다. ‘고용 쇼크’와 ‘분배 참사’에 이어 소비 심리까지 무너지며 경제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 99.2 기록 #작년 3월 이후 처음 100 아래로 #소비자 심리 비관적이란 의미 #주택가격전망, 전달보다 11p ↑ #경기 전망도 16개월만에 최저 # #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8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9.2로 전달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 밑으로 내려간 것은 지난해 3월(96.3) 이후 1년5개월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소비자심리지수는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생활형편과 가계수입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 등 주요 개별지수를 종합해 산출한다.

 이 수치가 100을 넘으면 소비심리가 과거(2003년~지난해 12월) 평균보다 낙관적이란 의미다.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란 뜻이다.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자료: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자료: 한국은행

 가계가 느끼는 불안감은 곳곳에서 드러난다. 먹구름이 짙게 낀 곳은 경기 전망이다.

 현재경기판단CSI(70)는 전달보다 7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4월(69) 이후 최저다.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경기를 그만큼 부정적으로 느낀다는 의미다.

 6개월 뒤 경기 전망인 향후경기전망CSI(82)도 전달보다 5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3월(77) 이후 17개월 만에 가장 낮다.

 현재생활형편CSI(89)도 전달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고용지표 부진과 생활 물가 상승, 미ㆍ중 무역갈등 지속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와 터키 등 신흥국 금융불안에 따른 주가 하락의 영향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됐다”고 말했다.

 경제 지표에는 이미 빨간불이 켜졌다. 7월 취업자증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3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하위 20%의 가계 명목소득(132만4900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6% 줄었다.

 이를 반영하듯 취업기회전망CSI(85)는 전달보다 2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3월(76) 이후 최저치다. 가계수입전망CSI(98)도 전달에 비해 1포인트 하락했다.

 주택가격전망CSI(109)는 전달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2013년 1월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전국 주택가격의 하락세에도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른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서울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국토교통부는 27일 서울 종로ㆍ동대문구ㆍ동작ㆍ중구 등 4개 구를 투기지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금리수준전망CSI(125)는 전달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3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연 1.5%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커진데다 경기 둔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을 담은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7%로 전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앞으로 1년 동안 소비자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줄 주요 품목(복수 응답)은 공업제품(55.0%), 농축수산물(46.4%), 공공요금(39.4%) 순으로 꼽혔다.

 이번 조사는 전국 220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 13~20일 실시됐고 1937가구가 응답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