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해찬, 권리당원·대의원 투표 모두 1위…‘강한 민주당’ 기반 확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양손을 번쩍 들고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양손을 번쩍 들고 인사하고 있다. [뉴스1]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당 대표를 뽑는 25일 전당대회에서 42.9%를 득표했다. 당초 ‘신승’이 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송영길(30.7%)·김진표(26.4%) 후보를 넉넉하게 앞섰다. 비록 과반에는 못 미쳤지만, 출마 순간부터 형성됐던 ‘대세론’의 실체가 확인됐다.

이번 전당대회는 대의원(45%)과 권리당원(40%), 여론조사(15%)가 고루 반영됐다. 특히, 당 대표 선출에 40%를 차지하는 권리당원의 중요성은 경선 초기부터 관심을 모았다. 한 달에 1000원 이상의 당비를 내는 민주당 권리당원은 탄핵과 대선,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현재는 71만여명으로 집계된다. 이번 전당대회에선 24만6000여명이 참여해 투표율 34.6%를 기록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의 다수가 문재인 대통령의 열혈 지지층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대표나 김진표 후보 모두 문재인 대통령과 가까운 ‘친문’으로 분류된다. 원조 친노인 이 대표는 당내 친문 의원들의 모임인 ‘부엉이 모임’에서도 좌장격이었다. 일부는 그를 ‘대장 부엉이’라고도 부른다. 김 후보는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ㆍ사회부총리를 지냈고, 문재인 정부 출범 때는 국정 기획자문위 원장을 지냈다.

친문 지지자들의 ‘진검승부’로 평가받은 권리당원 득표율에서도 이 신임 대표는 40.8%로 송영길(28.7%)·김진표(25.5%) 후보를 압도했다. 김 후보는 권리당원의 투표율이 예상보다 낮아지면서 2위 수성에서 실패했다.

경선 초기, 김 후보는 여배우ㆍ조폭 스캔들에 휘말린 이재명 경기지사의 탈당을 요구하면서 대립각을 세우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가 이 지사에게 비판적인 열혈 권리당원의 표를 노린 것”이란 분석이 많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는 패착이 됐다.

익명을 원한 한 의원은 “애초 지난 지방선거 경기지사 경선 때도 이 지사가 친문 핵심이라는 전해철 의원보다 권리당원의 지지를 더 받았다”며 “일부 권리당원에 구애하느라 무리수를 둔 게 패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실제 2위가 유력한 것으로 분석됐던 김 후보는 송 후보에게도 밀려 3위를 기록했다.

대의원들은 이날 현장투표로 지지 의사를 밝혔다. 전당대회가 열린 서울 올림픽 체조경기장 주변엔 이날 오전 일찍부터 지지자들이 자리를 잡고 장외 응원전을 펼쳤는데, 이 대표를 연호하는 목소리가 가장 컸다. 당 대표 후보들이 지지 연설을 할 때 청중들의 반응도 이 의원이 가장 뜨거웠다. 대의원 득표율은 이해찬(40.6%), 송영길(32.0%), 김진표(27.5%) 순이었다. 대의원 득표율을 기반으로 역전을 노렸던 송 후보는 아쉽게 2위에 그쳤다.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제19호 태풍 '솔릭' 대처 상황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전당대회 불참을 결정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제19호 태풍 '솔릭' 대처 상황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전당대회 불참을 결정했다. [뉴스1]

7선에 총리까지 지낸, 명실상부한 민주당의 ‘큰 어른’인 이 대표의 취임으로 당청 관계 또한 당장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이 대표가 당 대표 선거 내내 내건 캐치프레이즈가 ‘강한 민주당’이었다. 그는 이날 연설 때도 “내가 할 일은 강한 민주당을 만드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무총리 2년간 당·정·청 회의를 100번 했다. 민생경제연석회의를 구성해 힘없고 소외당하는 서민을 보호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가 정책과 정무를 따지지 않고 장악력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청와대와의 관계 재설정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헤게모니를 둘러싼 갈등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