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아파트 경비원 46명 감축"…靑 "지켜야 할 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오른쪽). 장 실장은 소득주도성장론의 상징적 존재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오른쪽). 장 실장은 소득주도성장론의 상징적 존재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장하성 대통령정책실장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경비원 감축 소식을 전한 보도에 대해 "지켜야 할 선이 있다"며 입장을 밝혔다.

앞서 조선일보, 한국경제신문 등은 20일 장 실장이 거주하는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가 최근 입주자대표회의를 열고 116명인 현재의 경비 인력을 64명으로 대폭 줄이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결정으로 해당 아파트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억5000만원을 들여 현관에 자동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한다.

장 실장이 소득주도 성장을 추진하는 핵심 인물이라는 점에서 장 실장이 거주하는 아파트의 경비원 감축 사실은 현재의 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아이러니라는 것이 기사의 골자였다.  

다만 이런 내용을 보도하는 가운데 일부 언론이 장 실장의 아파트 주소와 부인의 실명, 직업 등을 공개한 사실이 문제가 됐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가운데)이 1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고용상항 관련 긴급 당정청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가운데)이 1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고용상항 관련 긴급 당정청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일부 언론의 이런 보도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21일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출입기자들을 만나 “여러분들이 정책에 대해서 기사로 비판하는 것은 다 좋다. 그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분들을 비판하는 것도 다 수용한다”면서도 “그런데 그것이 어떤 정책적인 측면이 아니라 개인적인 측면으로 확대가 돼서 개인의 신상이나 아니면 가족관계, 이런 것들이 노출되는 상황들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언제든지 여러분들의 비판은 저희가 오픈돼있고 기사를 왜 이렇게 썼느냐, 앞으로 이렇게 써달라는 주문을 하는 것이 별로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다만 우리가 지켜야 될 어떤 선은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정책을 추진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책적 비판으로 귀결되고 집중됐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