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격랑속의 한·일관계, 지도자의 말 신중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문면만 놓고 보면 자신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이유로 한국과 중국이 일본과의 정상회담을 거부한 것을 언젠가 후회하게 될 거라는 얘긴데, 고이즈미 총리는 마음에 어떤 복수의 칼을 갈고 있기에 그런 말을 막 하는가. '소리장도(笑裏藏刀.미소 속에 감춰진 칼)'를 조심하라는 엄포인가. '양복 입은 사무라이'라는 말이 그냥 나오진 않은 것 같다.

그는 말로는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 수없이 되풀이하면서 때만 되면 침략전쟁의 상징인 야스쿠니 신사에 가서 머리를 조아리는 언행불일치를 보여 왔다. 후회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섬뜩한 뉘앙스는 야스쿠니 참배를 고집하는 그의 속내에 대한 의구심에 더욱 힘을 실어준다고 보지 않는가.

한.일관계가 이렇게 가서는 안 된다. 특히 국가 정상의 말 한마디는 금쪽같은 것이다. 쉽게 내뱉은 말 한마디가 양 국민에게 큰 상처가 될 수 있고 그것이 지난날 애써 쌓아온 양국관계를 하루아침에 허물 수도 있다. 고이즈미 총리의 발언은 노무현 대통령이 특별담화를 통해 독도 문제에 대해 초강경 방침을 천명한 데 대한 반발로 보인다.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는 김영삼 대통령의 말 한마디가 한.일관계에 일으켰던 평지풍파를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야 하는 것은 한국이나 일본이나 마찬가지다. 상대를 고려하지 않고 쏟아내는 말이 당장은 시원할지 몰라도 나중엔 독이 되어 돌아올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한.일관계가 격랑 속에 있을수록 지도자의 말은 절제되고 신중해야 한다. 양국 정상은 한발씩 뒤로 물러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