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와해공작 의혹’ 이채필 前장관, 12시간 檢 조사 후 귀가

중앙일보

입력

양대 노총 와해 공작 의혹을 받는 이채필 전 노동부 장관이 조사를 받기 위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25일 소환됐다. [연합뉴스]

양대 노총 와해 공작 의혹을 받는 이채필 전 노동부 장관이 조사를 받기 위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25일 소환됐다. [연합뉴스]

민주노총·한국노총 등 양대노총 와해 공작 주도 혐의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 이채필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검찰 조사를 마치고 귀가했다.

지난 25일 오후 2시 검찰에 출석한 이 전 장관은 12시간여 동안 서울중앙지검 공공형사수사부(부장검사 김성훈)의 조사를 받고 26일 오전 2시 검찰을 나섰다.

2010년 7월~2011년 5월까지 고용노동부 차관을 지낸 이 전 장관은 이명박 정부가 노조 와해 공작에 나섰던 2011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노동부 장관으로 재직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 전 장관은 차관 퇴임 이후 국정원으로부터 수억 원의 자금을 지원받아 국민노동조합총연맹(국민노총) 설립을 지원하는 데 관여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 손실)를 받고 있다.

국민노총은 지난 2011년 11월 출범했다.

검찰은 국민노총 출범은 양대노총의 영향력 약화를 위해 이명박 정부 국정원이 조직적으로 후원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민주노총에 이어 한국노총마저 이명박 정부가 총력을 기울인 타임오프제에 반발하자 제3의 노조 설립을 추진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검찰은 이 전 장관이 임태희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을 통해 국정원에 3억원을 요구했고, 1억원 이상의 국정원 자금이 국민노총 설립 등에 투입된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양대노총 공작에 이명박 전 대통령과 임 전 실장, 박재완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이 전 장관의 윗선으로 보고됐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앞서 이 전 장관은 전날 소환조사를 받기 위해 검찰에 출석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국민노총 설립과 관련해 제가 특별히 한 행위가 없다”고 혐의를 일체를 부인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